내가 다니는 병원에서 환자에게
설명을 가장 잘하는 의사는 누구일까?
예전에는 ‘병을 잘 고치는 의사’가 명의(名醫)였다. 지금도 병을 잘 고치는 의사가 명의라는 것은 부인할 수 없다. 하지만 인터넷의 발달로 인한 의료정보 개방화로 의사에게 상세한 설명을 원하는 환자들이 생기면서 명의의 조건에 환자와 커뮤니케이션을 잘하는 것도 추가됐다.
진료실에서 의사와 환자 간 소통이 잘 이루어지지 않으면 상호 간의 신뢰와 관계 형성이 어려워서 좋은 치료 결과를 얻기 힘들다. 이처럼 의사와 환자의 관계가 질병 중심의 관계에서 환자 중심의 관계로 변화하고 있다. 의료계도 변화의 흐름에 적극 동참하고 있다. 대한의료커뮤니케이션학회가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고, 진료 면담 및 소통법을 가르치는 의과대학의 수가 늘어나고 있다. 그렇다면 환자가 치료를 받는 병원에서는 어떨까.
<헬스조선>은 올바른 의료문화 개선을 위한 좋은 의사 시리즈 첫 번째 기획으로 대학병원에서 환자들에게 설명을 잘하는 의사를 꼽았다. 전국 43개 상급종합병원을 대상으로 조사했으며, 총 33곳의 병원에서 152명의 의사를 추천받았다. 환자에게 최상의 진료를 제공하기 위해 의술은 물론 인술도 펼치고 있는 의사들을 소개한다.
경상도
경북대병원

순환기내과 양동헌 교수
순환기내과장
경북대 의과대학 졸업
전문진료 분야: 심부전, 관상동맥질환, 고혈압, 고지혈증
진료시간에 관계없이 환자들의 질문에 상세히 대답한다. 대기하는 환자들의 입장에서 불평하기도 하지만 막상 진료실에 들어가면 질병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진료 만족도가 높다. 늘 밝은 얼굴로 환자를 맞이해서 환자들이 마음 편하게 자신의 상태를 물어본다.

정형외과 정원주 교수
경북대 의과대학 졸업 및 동대학원 의학석사
전문진료 분야: 근골격계 종양, 척추 질환, 골다공증, 당뇨발, 근골격계 감염
차분하고 조곤조곤한 말투로 환자에게 질병에 대해 명확하게 설명한다. 정형외과 특성상 구두 설명으로는 환자에게 설명하기 쉽지 않아 환자 연령에 맞춰 질병 모형이나 사진을 이용해서 설명한다. 수술 일정은 언제나 환자의 상황을 고려해서 맞춘다.

가정의학과 고혜진 교수
경북대 의과대학 졸업 및 동 대학원 의학박사
전문진료 분야: 가정의학, 통합의학, 비만클리닉
자신의 문제를 말하기 꺼리는 비만 환자와 소통하기 위해 각종 다이어트 방법을 시도한 자신의 경험을 이야기하면서 환자의 마음을 연다. 진료차트를 꼼꼼히 살피는 것은 물론 환자가 다른 질병에 대해서도 물어보면 친절하게 설명한다.
이 기사와 관련기사
의료계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