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다니는 병원에서 환자에게
설명을 가장 잘하는 의사는 누구일까?
예전에는 ‘병을 잘 고치는 의사’가 명의(名醫)였다. 지금도 병을 잘 고치는 의사가 명의라는 것은 부인할 수 없다. 하지만 인터넷의 발달로 인한 의료정보 개방화로 의사에게 상세한 설명을 원하는 환자들이 생기면서 명의의 조건에 환자와 커뮤니케이션을 잘하는 것도 추가됐다.
진료실에서 의사와 환자 간 소통이 잘 이루어지지 않으면 상호 간의 신뢰와 관계 형성이 어려워서 좋은 치료 결과를 얻기 힘들다. 이처럼 의사와 환자의 관계가 질병 중심의 관계에서 환자 중심의 관계로 변화하고 있다. 의료계도 변화의 흐름에 적극 동참하고 있다. 대한의료커뮤니케이션학회가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고, 진료 면담 및 소통법을 가르치는 의과대학의 수가 늘어나고 있다. 그렇다면 환자가 치료를 받는 병원에서는 어떨까.
<헬스조선>은 올바른 의료문화 개선을 위한 좋은 의사 시리즈 첫 번째 기획으로 대학병원에서 환자들에게 설명을 잘하는 의사를 꼽았다. 전국 43개 상급종합병원을 대상으로 조사했으며, 총 33곳의 병원에서 152명의 의사를 추천받았다. 환자에게 최상의 진료를 제공하기 위해 의술은 물론 인술도 펼치고 있는 의사들을 소개한다.
서울특별시
고려대 구로병원

정형외과 김학준 교수
고려대 의과대학 졸업 및 동 대학원 의학박사
전문진료 분야: 족부, 족관절, 수부외상, 스포츠외상
발이 아파서 오는 환자들이 발을 내보이는 걸 민망해할 때, 아픈 발이니 당연히 냄새가 난다며 스스럼없이 발을 만지며 환자들의 마음을 연다. 고령의 환자들에게 큰 목소리로 진료를 보다가, 성대 결절 수술을 받을 만큼 환자들과의 소통을 중요하게 여긴다.

산부인과 조금준 교수
고려대 의과대학 졸업 및 동 대학원 의학박사
전문진료 분야: 산과학, 고위험산모
다둥이 아빠인 조 교수는 무엇보다 산모의 마음을 잘 공 감한다. 고위험 산모들을 주로 진료하는데 유머러스한 말솜씨로 불안한 산모들의 마음을 잘 다독여 환자들 사 이에서 인기가 많다. 진료뿐 아니라 연구 활동도 활발해 학문적 성과도 높다.

비뇨기과 오미미 교수
고려대 의과대학 졸업
전문진료 분야: 여성배뇨 장애, 요실금, 소아비뇨기, 야뇨증, 요로감염, 결석
질병뿐 아니라 마음까지 보듬는다고 환자들 사이에서 알려져 있다. 환자들이 편안하게 느끼는 탓에 투병에 지친 환자들이 와서 울기도 한다. 요실금 수술에 대한 성과가 높으며, 소아 배뇨장애로도 많은 환자들이 찾고 있다.

혈액내과 최철원 교수
고려대 의과대학 졸업 및 동 대학원 의학박사
전문진료 분야: 백혈병, 림프종, 다발골수종, 빈혈, 혈소판감소증, 조혈모세포이식
환자들이 친근하고 편하게 생각해서 환자의 개인적인 이야기는 물론 10년 전 가족사까지 기억한다. 차분하게 꼼꼼하게 환자를 보살피는 덕에 이미 환자와 보호자 사 이에서 친절한 의사로 정평이 나 있다. 중저음의 목소리 가 인기 비결 중 하나다.

척추신경외과 문홍주 교수
고려대 의과대학 졸업 및 동 대학원 의학박사
전문진료 분야: 경추 질환, 요추 질환, 척추외상
한번 진료를 보기 시작하면 환자에게 허락된 시간을 최 대로 할애해 많은 이야기를 듣고 정확하고 자세하게 진 료한다. 처음엔 오랜 대기에 불만이 많지만, 진료가 끝 나면 불평은 사라진다.
이 기사와 관련기사
의료계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