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다니는 병원에서 환자에게
설명을 가장 잘하는 의사는 누구일까?
예전에는 ‘병을 잘 고치는 의사’가 명의(名醫)였다. 지금도 병을 잘 고치는 의사가 명의라는 것은 부인할 수 없다. 하지만 인터넷의 발달로 인한 의료정보 개방화로 의사에게 상세한 설명을 원하는 환자들이 생기면서 명의의 조건에 환자와 커뮤니케이션을 잘하는 것도 추가됐다.
진료실에서 의사와 환자 간 소통이 잘 이루어지지 않으면 상호 간의 신뢰와 관계 형성이 어려워서 좋은 치료 결과를 얻기 힘들다. 이처럼 의사와 환자의 관계가 질병 중심의 관계에서 환자 중심의 관계로 변화하고 있다. 의료계도 변화의 흐름에 적극 동참하고 있다. 대한의료커뮤니케이션학회가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고, 진료 면담 및 소통법을 가르치는 의과대학의 수가 늘어나고 있다. 그렇다면 환자가 치료를 받는 병원에서는 어떨까.
<헬스조선>은 올바른 의료문화 개선을 위한 좋은 의사 시리즈 첫 번째 기획으로 대학병원에서 환자들에게 설명을 잘하는 의사를 꼽았다. 전국 43개 상급종합병원을 대상으로 조사했으며, 총 33곳의 병원에서 152명의 의사를 추천받았다. 환자에게 최상의 진료를 제공하기 위해 의술은 물론 인술도 펼치고 있는 의사들을 소개한다.
경상도
계명대 동산의료원

소화기내과 황재석 교수
부원장
계명대 의과대학 졸업
전문진료 분야: 간질환, 위장관, 대장 질환
실력도 중요하지만 대화를 통해 환자의 마음을 열 수 있어야 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다고 말한다. 진료실 두 개를 동시에 오가며 진료하면서도 피곤한 기색을 보이지 않는다. 환자들이 섣부른 공포심을 갖지 않도록 안심시키면서 질환에 대해 충분히 설명한다.

이식혈관외과 김형태 교수
외과장
계명대 의과대학 졸업
전문진료 분야: 신장이식 및 간이식, 급성 및 만성동맥폐색증, 버거씨병, 복부대동맥류 등
환자가 병을 이해할 수 있도록 의사가 이끌어줘야 한다는 신념을 갖고 있다. 그래서 환자들이 궁금한 내용을 물어보기 전에 미리 알려준다. 가능하면 CT 등 사진을 보여주며 설명한다. 질병을 일상에서의 현상에 비유해서 표현해 쉽게 이해시키기도 한다.

내분비대사내과 김혜순 교수
내분비내과 분과장
계명대 의과대학 졸업
전문진료 분야: 당뇨병, 갑상선 질환, 골다공증, 뇌하수체 질환, 부신 질환, 기타 내분비 질환
부드러운 말투와 친근한 태도로 환자들은 물론 의료원 내부에서도 인기가 많다. 어려운 용어나 질병을 설명할 때는 메모하면서 쉽게 알려준다. 진료 끝나면 썼던 메모지를 환자에게 건네준다. 진료 때 함께 자리하지 못한 가족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다.

이비인후과 김동은 교수
계명대 의과대학 졸업
전문진료 분야: 코골이수술, 부비동염(내시경수술), 알레르기비염
개인적인 시간을 할애해서라도 헌신적으로 환자 진료에 임한다. 질병은 물론 처방하는 약의 기능까지 꼼꼼히 설명한다. 항상 친근한 태도로 환자들에게 인기가 많다. 고맙다는 인사에 “환자분이 많이 노력해서 그렇습니다”라며 오히려 환자를 칭찬한다.

정형외과 이경재 교수
계명대 의과대학 졸업
전문진료 분야: 고관절 및 골반(인공관절·관절경·골절), 골다공증 및 골다공증성 골절, 골종양
연령대가 높은 환자들에게 특히 설명을 잘하는 교수로 통한다. 인공관절을 원래 뼈와 똑같은 역할을 하도록 만든 뼈로 설명하는 등 질병을 최대한 쉽게 설명하려 노력한다. 걱정이 많은 환자들에게는 마음의 안정을 찾을 수 있도록 희망적인 용어를 많이 쓴다.
이 기사와 관련기사
의료계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