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다니는 병원에서 환자에게
설명을 가장 잘하는 의사는 누구일까?
예전에는 ‘병을 잘 고치는 의사’가 명의(名醫)였다. 지금도 병을 잘 고치는 의사가 명의라는 것은 부인할 수 없다. 하지만 인터넷의 발달로 인한 의료정보 개방화로 의사에게 상세한 설명을 원하는 환자들이 생기면서 명의의 조건에 환자와 커뮤니케이션을 잘하는 것도 추가됐다.
진료실에서 의사와 환자 간 소통이 잘 이루어지지 않으면 상호 간의 신뢰와 관계 형성이 어려워서 좋은 치료 결과를 얻기 힘들다. 이처럼 의사와 환자의 관계가 질병 중심의 관계에서 환자 중심의 관계로 변화하고 있다. 의료계도 변화의 흐름에 적극 동참하고 있다. 대한의료커뮤니케이션학회가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고, 진료 면담 및 소통법을 가르치는 의과대학의 수가 늘어나고 있다. 그렇다면 환자가 치료를 받는 병원에서는 어떨까.
<헬스조선>은 올바른 의료문화 개선을 위한 좋은 의사 시리즈 첫 번째 기획으로 대학병원에서 환자들에게 설명을 잘하는 의사를 꼽았다. 전국 43개 상급종합병원을 대상으로 조사했으며, 총 33곳의 병원에서 152명의 의사를 추천받았다. 환자에게 최상의 진료를 제공하기 위해 의술은 물론 인술도 펼치고 있는 의사들을 소개한다.
경상도
대구가톨릭대병원

정형외과 최창혁 교수
경북대 의과대학 졸업 및 동 대학원 의학박사
전문진료 분야:견관절 및 주관절, 관절경수술, 스포츠외상
병원 자체조사에서 환자 만족도 최상위 의사로 알려져 있다. 환자에게 설명 잘한다고 다른 의료진들도 입을 모아 추천하는 의사이기도 하다. 경북지역을 위한 사회공헌 활동도 많이 참여해 지역민들에게 친근하다.

소화기내과 김호각 교수
경북대 의과대학 졸업 및 동 대학원 의학박사
전문진료 분야:췌장담도 질환, 치료내시경, 소화기 종양 등
소화기 분야의 중증 질환에서는 경북지역 내 저명한 의사로 통한다. 실력이 뛰어날뿐더러 환자 및 보호자에게 알아듣기 쉽게 설명해준다. 지방에서뿐만 아니라 수도권 지역에서도 김 교수에게 치료받기 위해 환자들이 찾아온다.

산부인과 최윤석 교수
암센터장
경북대 의과대학 졸업 및 동 대학원 의학박사
전문진료 분야:부인종양학, 부인과내시경
환자가 질병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여러 방법을 동원한다. 직접 질환별 안내서를 제작해서 환자에게 나눠주며 설명한다. 병원 내에서 처음으로 태블릿 PC를 이용해 환자에게 치료 방법을 소개한 바 있다.

위장관외과 채현동 교수
계명대 의과대학 졸업, 대구가톨릭대 의학 박사
전문진료 분야:위장관외과(위장 및 소장 질환), 복강경 위절제술, 복강경 소장절제술
환자 개개인의 상태에 맞게 설명한다. 개인마다 병의 진행상황, 연령 등 설명할 때 고려해야 할 부분들이 많다. 이런 것들을 놓치지 않고 세심하게 챙기는 덕에, 환자들에게서 인간미 넘치는 의사라는 평을 듣는다.

감염내과 권현희 교수
대구가톨릭대 의과대학 졸업 및 동 대학원 의학박사
전문진료 분야:불명열, 각종 감염성 질환 등
환자나 보호자가 궁금해 하는 부분을 명쾌하게 집어내 알려주는 것으로 원내에서 유명하다. 바쁜 스케줄을 소화해내면서도 환자들을 결코 소홀히 대하지 않는다. 의료에 대한 사명감으로 환자 한 명 한 명에게 최선을 다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 기사와 관련기사
�섎즺怨� �댁뒪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