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다니는 병원에서 환자에게
설명을 가장 잘하는 의사는 누구일까?
예전에는 ‘병을 잘 고치는 의사’가 명의(名醫)였다. 지금도 병을 잘 고치는 의사가 명의라는 것은 부인할 수 없다. 하지만 인터넷의 발달로 인한 의료정보 개방화로 의사에게 상세한 설명을 원하는 환자들이 생기면서 명의의 조건에 환자와 커뮤니케이션을 잘하는 것도 추가됐다.
진료실에서 의사와 환자 간 소통이 잘 이루어지지 않으면 상호 간의 신뢰와 관계 형성이 어려워서 좋은 치료 결과를 얻기 힘들다. 이처럼 의사와 환자의 관계가 질병 중심의 관계에서 환자 중심의 관계로 변화하고 있다. 의료계도 변화의 흐름에 적극 동참하고 있다. 대한의료커뮤니케이션학회가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고, 진료 면담 및 소통법을 가르치는 의과대학의 수가 늘어나고 있다. 그렇다면 환자가 치료를 받는 병원에서는 어떨까.
<헬스조선>은 올바른 의료문화 개선을 위한 좋은 의사 시리즈 첫 번째 기획으로 대학병원에서 환자들에게 설명을 잘하는 의사를 꼽았다. 전국 43개 상급종합병원을 대상으로 조사했으며, 총 33곳의 병원에서 152명의 의사를 추천받았다. 환자에게 최상의 진료를 제공하기 위해 의술은 물론 인술도 펼치고 있는 의사들을 소개한다.
충청도
단국대병원

비뇨기과 김형지 교수
고려대 의과대학 졸업 및 동 대학원 의학박사
전문진료 분야: 배뇨장애, 전립선 질환, 남성과학, 요로결석
환자가 진료가 끝나고 돌아갈 때 매번 자리에서 일어나 진료실 문 밖까지 배웅하며 간호사들에게 다시 한 번 환자의 처방이나 검사 등을 확인해준다. 환자와 공감대 형성을 잘하는 덕에 김 교수를 보고 가는 것을 낙으로 여기는 환자도 있다.

신장내과 조종태 교수
서울대 의과대학 졸업 및 동 대학원 의학박사
전문진료 분야: 만성신부전, 투석, 고혈압, 신장염
성격이 꼼꼼하고 정확하다. 초진 환자는 환자 파악을 위해 30분 이상 대화한다. 진료실 밖에서는 진료 지연으로 민원이 들어오지만 막상 환자들이 진료실로 들어서 꼼꼼한 증상 파악과 환자 말을 경청해 민원을 잠재운다.

가정의학과 박일환 교수
서울대 의과대학 졸업 및 동 대학원 의학박사
전문진료 분야: 가족상담 및 치료, 알코올남용
대한의료커뮤니케이션 학회의 회장을 지냈다. 그만큼 진료실 내의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관심이 많다. 환자의 신뢰를 높이는 진료실 내의 커뮤니케이션 방안에 대해 열심히 연구 중이다. 원내에서 환자들이 뽑은 가장 친절한 의사로 뽑히기도 했다.

외과 남궁환 교수
경희대 의과대학 졸업, 울산대 의학 박사
전문진료 분야: 대장ㆍ직장암, 항문 질환, 복강경대장수술, 대장내시경
환자들과의 관계를 가장 중요히 여기는 의사 중 하나로 친절 의사로 알려져 있다. 진료 초 관계형성이 잘 된 환자를 돌보기 위해 휴일을 반납하는 것은 기본이며, 환자 상태가 나빠지면 24시간 대기한다.

류마티스내과 강미일 교수
건양대 의과대학 졸업 및 동대학원 의학석사
전문진료 분야: 류마티스 및 관절염, 루프스, 통풍, 베체트병, 강직성척추염
60~70대 고령의 환자들은 본인의 이야기를 잘 들어주고 설명 또한 환자들의 눈높이에 맞게 낮은 음성으로 천천히 설명해 주는 것을 선호한다. 강 교수는 딸의 마음으로 환자를 대해 어르신 환자에게 인기가 많다.
이 기사와 관련기사
의료계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