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다니는 병원에서 환자에게
설명을 가장 잘하는 의사는 누구일까?
예전에는 ‘병을 잘 고치는 의사’가 명의(名醫)였다. 지금도 병을 잘 고치는 의사가 명의라는 것은 부인할 수 없다. 하지만 인터넷의 발달로 인한 의료정보 개방화로 의사에게 상세한 설명을 원하는 환자들이 생기면서 명의의 조건에 환자와 커뮤니케이션을 잘하는 것도 추가됐다.
진료실에서 의사와 환자 간 소통이 잘 이루어지지 않으면 상호 간의 신뢰와 관계 형성이 어려워서 좋은 치료 결과를 얻기 힘들다. 이처럼 의사와 환자의 관계가 질병 중심의 관계에서 환자 중심의 관계로 변화하고 있다. 의료계도 변화의 흐름에 적극 동참하고 있다. 대한의료커뮤니케이션학회가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고, 진료 면담 및 소통법을 가르치는 의과대학의 수가 늘어나고 있다. 그렇다면 환자가 치료를 받는 병원에서는 어떨까.
<헬스조선>은 올바른 의료문화 개선을 위한 좋은 의사 시리즈 첫 번째 기획으로 대학병원에서 환자들에게 설명을 잘하는 의사를 꼽았다. 전국 43개 상급종합병원을 대상으로 조사했으며, 총 33곳의 병원에서 152명의 의사를 추천받았다. 환자에게 최상의 진료를 제공하기 위해 의술은 물론 인술도 펼치고 있는 의사들을 소개한다.
경기도·인천광역시
순천향대 부천병원

신장내과 김진국 교수
신장내과 과장
순천향대 의과대학 졸업 및 동 대학원 의학박사
전문진료 분야: 투석과 영양상태, 사구체신염, 당뇨병성 신증
환자들과 ‘카카오톡’과 ‘카카오스토리’ 등을 통해 수시로 질병에 대해 상담한다. 또 여행사진과 스케줄 등을 교환하기도 한다. 환자의 부탁으로 결혼 주례를 볼 정도로 환자와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신경외과 김범태 교수
신경외과 과장
순천향대 의과대학 졸업 및 동 대학원 의학박사
전문진료 분야: 뇌졸중, 두통, 뇌혈관중재술, 안면마비와 떨림, 두부외상
자신이 치료한 뇌혈관 질환 환자들과 계속 소통하며, 매년 환우회를 개최해 치료 사례를 소개하고, 축하 공연을 열어 환우들과 즐거운 시간을 보낸다. 또 매월 ‘뇌졸중과 뇌혈관 내 치료 건강강좌’를 개최해 환자들에게 건강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종양혈액내과 박성규 교수
종양혈액내과 과장
순천향대 의과대학 졸업 및 동 대학원 의학박사
전문진료 분야: 백혈병, 조혈모세포이식
과 특성상 응급환자가 많아 핫라인을 24시간 운영하며 응급상황 발생 시 연락하면 바로 입원할 수 있게 한다. 주말 아침에도 회진을 돌며 환자 상태를 확인한다. 외래가 없는 날에도 환자가 원하면 진료를 한다. 조혈모세포이식 환자 퇴원 시 매번 ‘다과 파티’를 연다.

외과 임철완 교수
순천향대 의과대학 졸업 및 동 대학원 의학박사
전문진료 분야: 유방학, 내분비외과학
환자들의 이야기에 하나하나 귀 기울이며 오랜 시간 회진을 돌기로 유명하다. 환자가 불안하지 않도록 유머를 준비해서 진료 및 회진 시 편안하게 해주고, 손을 잡거나 등을 두드리는 친근한 스킨십을 통해 환자가 편안한 분위기에서 진료를 받도록 도와준다.

정형외과 임수재 교수
정형외과 과장
순천향대 의과대학 졸업 및 동 대학원 의학박사
전문진료 분야: 관절염, 인공관절, 골다공증
매월 ‘관절염 건강강좌’를 열어 환자들에게 건강정보를 제공한다. 건강강좌가 끝나면 참가자들에게 갈비탕을 대접하는 등 환자들을 세심하게 챙긴다. 어버이날에는 간호사들과 함께 준비한 카네이션과 손편지를 입원 환자들에게 직접 선물해 감동을 준다.
이 기사와 관련기사
의료계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