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다니는 병원에서 환자에게
설명을 가장 잘하는 의사는 누구일까?
예전에는 ‘병을 잘 고치는 의사’가 명의(名醫)였다. 지금도 병을 잘 고치는 의사가 명의라는 것은 부인할 수 없다. 하지만 인터넷의 발달로 인한 의료정보 개방화로 의사에게 상세한 설명을 원하는 환자들이 생기면서 명의의 조건에 환자와 커뮤니케이션을 잘하는 것도 추가됐다.
진료실에서 의사와 환자 간 소통이 잘 이루어지지 않으면 상호 간의 신뢰와 관계 형성이 어려워서 좋은 치료 결과를 얻기 힘들다. 이처럼 의사와 환자의 관계가 질병 중심의 관계에서 환자 중심의 관계로 변화하고 있다. 의료계도 변화의 흐름에 적극 동참하고 있다. 대한의료커뮤니케이션학회가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고, 진료 면담 및 소통법을 가르치는 의과대학의 수가 늘어나고 있다. 그렇다면 환자가 치료를 받는 병원에서는 어떨까.
<헬스조선>은 올바른 의료문화 개선을 위한 좋은 의사 시리즈 첫 번째 기획으로 대학병원에서 환자들에게 설명을 잘하는 의사를 꼽았다. 전국 43개 상급종합병원을 대상으로 조사했으며, 총 33곳의 병원에서 152명의 의사를 추천받았다. 환자에게 최상의 진료를 제공하기 위해 의술은 물론 인술도 펼치고 있는 의사들을 소개한다.
경기도·인천광역시
아주대병원

신경외과 윤수한 교수
연세대 의과대학 졸업 및 동 대학원 의학박사
전문진료 분야: 소아신경외과, 감마나이프 수술
주말에만 집에 가고 평일에는 병원에서 환자를 진료한다. 윤 교수는 수술 환자의 회진을 수술 당일 밤과 익일 새벽 반드시 두 차례 하는데, 이것이 가능한 이유다. 주말에도 낮엔 병원에 나와 수술을 앞둔 보호자에게 1시간 이상 할애해 설명한다.

이식혈관외과 오창권 교수
연세대 의과대학 졸업 및 동 대학원 의학박사
전문진료 분야: 신장 및 췌장이식, 투석혈관
환자를 일일이 챙기는 습관 때문에 주말 출근도 마다하지 않는다. 병동 회진을 돌면서 이식을 앞둔 환자나 집중 관리가 필요한 환자들의 기록을 점검한다. 수술 후에는 수술이 잘 되었는지 환자와 보호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충분한 설명을 해준다.

정신건강의학과 홍창형 교수
연세대 의과대학 졸업 및 동 대학원 의학박사
전문진료 분야: 치매, 인지장애, 노인성우울증
진료환자에게 의학용어를 쓰지 않는다. 말을 천천히 하면서 쉬운 단어로 최대한 쉽게 설명하려 노력한다. 치매 환자를 진료할 때는 보호자가 실질적으로 환자를 잘 관리할 수 있는 치료를 제시해서 보호자 가족의 만족도가 높다.

이비인후과 김철호 교수
인하대 의과대학 졸업, 연세대 의학 박사
전문진료 분야: 두경부종양, 음성장애, 기관식도 질환
언제나 환한 미소로 환자를 맞는다. 환자를 진료할 때 부정적인 용어를 쓰지 않아 대화가 편안하고 부드럽게 이어지도록 한다. 수술 시점 등을 정할 때도 환자의 편의를 최대한 반영하도록 해주기 때문에 환자들의 만족도가 높다.

가정의학과 이득주 교수
연세대 의과대학 졸업, 고려대 의학 박사
전문진료 분야: 갱년기, 노화관리, 류마티스
환자에게 ‘가족처럼 따뜻하게 마음을 만져주는 의사’로 통한다. 환자와 나눈 대화 내용을 기억했다가, 다음 진료 때 꼭 물어볼 정도로 세심하다. 환자를 치료하는 방법이 여럿일 때는 각 장단점을 충분히 설명하고 환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배려한다.
이 기사와 관련기사
의료계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