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다니는 병원에서 환자에게
설명을 가장 잘하는 의사는 누구일까?
예전에는 ‘병을 잘 고치는 의사’가 명의(名醫)였다. 지금도 병을 잘 고치는 의사가 명의라는 것은 부인할 수 없다. 하지만 인터넷의 발달로 인한 의료정보 개방화로 의사에게 상세한 설명을 원하는 환자들이 생기면서 명의의 조건에 환자와 커뮤니케이션을 잘하는 것도 추가됐다.
진료실에서 의사와 환자 간 소통이 잘 이루어지지 않으면 상호 간의 신뢰와 관계 형성이 어려워서 좋은 치료 결과를 얻기 힘들다. 이처럼 의사와 환자의 관계가 질병 중심의 관계에서 환자 중심의 관계로 변화하고 있다. 의료계도 변화의 흐름에 적극 동참하고 있다. 대한의료커뮤니케이션학회가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고, 진료 면담 및 소통법을 가르치는 의과대학의 수가 늘어나고 있다. 그렇다면 환자가 치료를 받는 병원에서는 어떨까.
<헬스조선>은 올바른 의료문화 개선을 위한 좋은 의사 시리즈 첫 번째 기획으로 대학병원에서 환자들에게 설명을 잘하는 의사를 꼽았다. 전국 43개 상급종합병원을 대상으로 조사했으며, 총 33곳의 병원에서 152명의 의사를 추천받았다. 환자에게 최상의 진료를 제공하기 위해 의술은 물론 인술도 펼치고 있는 의사들을 소개한다.
충청도
순천향대 천안병원

외과 이문수 교수
병원장
순천향대 의과대학 졸업, 일본 도호대 의학박사
전문진료 분야: 위암, 위장관외과, 외과 종양학
병원장으로서 바쁜 일정 속에서도 환자 곁을 지키려 노력한다. 연간 200건이 넘는 수술을 소화한다. 수술 전에는 꼭 환자 손을 잡아주고, 수술 후엔 가족들의 걱정이 누그러질 때까지 자세한 설명을 아끼지 않는다.

신장내과 홍세용 교수
고려대 의과대학 졸업 및 동 대학원 의학박사
전문진료 분야: 농약중독, 신장이식, 만성신부전
신장내과학과 독성학 분야에서 명의로 알려져 있다. 매년 평균 500명이 넘는 농약중독 환자의 생명을 구해낸다. 온라인을 통해서도 환자들을 돕는다. 20년 가까이 운영 중인 홈페이지에서 환자 가족들의 상담 글에 실시간 댓글을 달아준다.

소화기내과 박상흠 교수
부원장
순천향대 의과대학 졸업 및 동대학원 의학석사
전문진료 분야: 췌장 및 담도 질환, 취담도 치료내시경, 담석증
“행복하십니까?”를 연신 물어 병원 내 행복전도사로 통한다. 환자의 병은 물론 삶 이야기에 귀 기울이고, 환자나 보호자가 요청하면 장소를 불문하고 자세한 설명을 해준다. 환자와의 소통을 다룬 책 <건강을 위한 마음경영 4단계>을 집필하기도 했다.

내분비내과 김여주 교수
인하대 의과대학 졸업 및 동 대학원 의학박사
전문진료 분야: 당뇨병, 갑상선 질환, 골다공증
환자들과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중요시한다. 당뇨병이나 갑상선 질환 같은 만성질환자에게 자신의 휴대전화번호를 알려주고 건강관리를 꾸준히 체크해준다. 환자가 해외에 나가 진료를 못 보는 경우는 이메일을 통해 상담하기도 한다.

성형외과 김준혁 교수
순천향대 의과대학 졸업 및 동 대학원 의학박사
전문진료 분야: 재건성형, 수부외과, 선천성 기형
친화력과 유머 덕택에 동료 의사는 물론 환자에게 인기가 많다. 수술을 앞둔 환자는 물론 수술실 밖에서 내내 걱정할 보호자까지 챙긴다. 환자들에게 특유의 유쾌한 말투로 자신감을 북돋워준다.
이 기사와 관련기사
의료계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