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다니는 병원에서 환자에게
설명을 가장 잘하는 의사는 누구일까?
예전에는 ‘병을 잘 고치는 의사’가 명의(名醫)였다. 지금도 병을 잘 고치는 의사가 명의라는 것은 부인할 수 없다. 하지만 인터넷의 발달로 인한 의료정보 개방화로 의사에게 상세한 설명을 원하는 환자들이 생기면서 명의의 조건에 환자와 커뮤니케이션을 잘하는 것도 추가됐다.
진료실에서 의사와 환자 간 소통이 잘 이루어지지 않으면 상호 간의 신뢰와 관계 형성이 어려워서 좋은 치료 결과를 얻기 힘들다. 이처럼 의사와 환자의 관계가 질병 중심의 관계에서 환자 중심의 관계로 변화하고 있다. 의료계도 변화의 흐름에 적극 동참하고 있다. 대한의료커뮤니케이션학회가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고, 진료 면담 및 소통법을 가르치는 의과대학의 수가 늘어나고 있다. 그렇다면 환자가 치료를 받는 병원에서는 어떨까.
<헬스조선>은 올바른 의료문화 개선을 위한 좋은 의사 시리즈 첫 번째 기획으로 대학병원에서 환자들에게 설명을 잘하는 의사를 꼽았다. 전국 43개 상급종합병원을 대상으로 조사했으며, 총 33곳의 병원에서 152명의 의사를 추천받았다. 환자에게 최상의 진료를 제공하기 위해 의술은 물론 인술도 펼치고 있는 의사들을 소개한다.
경상도
고신대 복음병원

신장내과 임학 교수
병원장
고신대 의과대학 졸업, 계명대 의학박사
전문진료 분야: 신장 질환
신장내과 환자들은 만성질환자라 완치라는 개념이 상대적으로 약해 무엇보다 주치의와의 교류가 중요하다. 그래서 임 교수는 쉽게 다시 정상으로 회복할 수 없는 환자의 상황을 설명하면서 생활습관을 꼼꼼하게 체크하며 환자와 소통한다.

내분비내과 최영식 교수
고신대 의과대학 졸업, 인제대 의학박사
전문진료 분야: 내분비(당뇨, 갑상선, 호르몬) 질환
병원에서 가장 많은 연구를 하고 논문을 집필한 의사다. 갑상선암 환자에게 초음파를 세침흡인 기술로 국내에서 가장 먼저 시도했다. 2014년 부산시 의사회에서 학술 대상을 수상했다. 치료에 대한 연구에 매진해서 환자에게 ‘치료 잘하는 의사’라는 신뢰를 주고 있다.

간담도췌장외과 신동훈 교수
고신대 의과대학 졸업, 인제대 의학박사
전문진료 분야: 간, 담도, 췌장, 이식
인술로 유명한 고 장기려 박사의 제자다. 환자들과 친구처럼 허물없이 지내며 하소연도 들어준다. 시한부 선고를 받은 환자들의 눈물을 직접 닦아준 일화로 유명하다. 실력도 출중하다. EBS TV프로그램 ‘명의’에 출연해 간담도 수술의 대가로 알려졌다.

위장관외과 윤기영 교수
고신대 의과대학 졸업, 인제대 의학박사
전문진료 분야: 식도, 위장, 복강경수술
위암으로 모친을 잃은 경험이 있어서 위암 환자들의 고통을 잘 안다. 위암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환자들에게 제공하기 위해 ‘암사냥꾼’이라는 닉네임으로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다. 블로그 주소는 http://blog.naver.com/yoonkiyoung이다.

류마티스내과 김근태 교수
부산대 의과대학 졸업 및 동 대학원 의학박사
전문진료 분야: 류마티스관절염, 강직성척추염, 루푸스, 통풍, 퇴행성관절염, 섬유근육통, 혈관염, 베체트병
환자들 사이에서 온화한 인품이 돋보인다고 알려졌다. 병원 내 환자와의 면담시간이 가장 긴 교수 중 한 명으로 알려졌다.
이 기사와 관련기사
의료계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