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다니는 병원에서 환자에게
설명을 가장 잘하는 의사는 누구일까?
예전에는 ‘병을 잘 고치는 의사’가 명의(名醫)였다. 지금도 병을 잘 고치는 의사가 명의라는 것은 부인할 수 없다. 하지만 인터넷의 발달로 인한 의료정보 개방화로 의사에게 상세한 설명을 원하는 환자들이 생기면서 명의의 조건에 환자와 커뮤니케이션을 잘하는 것도 추가됐다.
진료실에서 의사와 환자 간 소통이 잘 이루어지지 않으면 상호 간의 신뢰와 관계 형성이 어려워서 좋은 치료 결과를 얻기 힘들다. 이처럼 의사와 환자의 관계가 질병 중심의 관계에서 환자 중심의 관계로 변화하고 있다. 의료계도 변화의 흐름에 적극 동참하고 있다. 대한의료커뮤니케이션학회가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고, 진료 면담 및 소통법을 가르치는 의과대학의 수가 늘어나고 있다. 그렇다면 환자가 치료를 받는 병원에서는 어떨까.
<헬스조선>은 올바른 의료문화 개선을 위한 좋은 의사 시리즈 첫 번째 기획으로 대학병원에서 환자들에게 설명을 잘하는 의사를 꼽았다. 전국 43개 상급종합병원을 대상으로 조사했으며, 총 33곳의 병원에서 152명의 의사를 추천받았다. 환자에게 최상의 진료를 제공하기 위해 의술은 물론 인술도 펼치고 있는 의사들을 소개한다.
경기도·인천광역시
가톨릭대인천성모병원

외과 김진조 교수
소화기외과 과장
가톨릭대 의과대학 졸업 및 동 대학원 의학석사
전문진료 분야: 식도암, 위암, 위식도역류질환, 비만, 복강경·로봇수술
환자 옆에서 잠을 자는 의사로 병원에서 통한다. 환자의 예후가 나빠질 위험이 있으면 언제라도 치료하겠다는 이유에서다. 중환자실 간호사들 사이에서도 인기가 많다. 치료에 대한 빠른 판단으로 환자와 보호자뿐 아니라 전공의들에게서도 신뢰를 얻고 있다.

외과 윤영철 교수
장기이식센터 센터장, 내외과계 중환자실장
가틀릭대 의과대학 졸업
전문진료 분야: 간암, 간이식, 담관암, 췌장암, 담석증, 복강경수술
장기이식을 앞둔 환자에게 ‘믿음이 있어야 희망이 꺾이지 않는다’는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환자 앞에서 자신감 있는 말투와 적극적인 자세로 진료한다. 장기이식센터의 환자관리 시스템을 구축해 뇌사 수혜 대기시간을 전국 평균 시간보다 훨씬 앞당겼다.

외과 이윤석 교수
가톨릭대 의과대학 졸업 및 동대학원 의학 석사
전문진료 분야: 대장항문외과(대장·직장암), 복강경수술(대장암·탈장)
군의관 시절 응급실에 계신 아버지 임종을 지키지 못한 것이 안타까워 지금도 응급실 환자를 보면 마음이 아프다는 이윤석 교수. 좋은 의사는 환자의 마음을 먼저 헤아리는 의사라는 생각으로 진료한다. 환자에게 어려운 의학용어 대신 직접 종이에 써가며 쉽게 설명한다.

신경외과 장경술 교수
뇌신경센터 센터장, 신경외과 과장
원광대 의과대학 졸업, 가톨릭대 의학 박사
전문진료 분야: 뇌혈관 질환(뇌졸중),혈관내수술, 두부외상 질환, 모야모야병, 파킨슨병
친근한 이미지로 환자와 보호자에게 인기가 많다. 서글서글한 인상과 호탕한 웃음소리는 장 교수의 트레이드 마크다. 또, 재치 있는 입담으로 보건소나 교회 등에서 뇌혈관 질환에 대해 매년 강의하고 있어 지역사회에서 잘 알려진 스타 의사다.

정형외과 이상욱 교수
정형외과 과장
가톨릭대 의과대학 졸업
전문진료 분야: 견관절, 수부 및 외상
수술 후 환자에게 상태를 꼼꼼하게 알려준다. 수술 전 환자의 상태를 기록한 자료와 수술 중에 찍어둔 사진 등을 모두 보여주면서 설명해 환자들의 진료 만족도가 높다. 무조전적인 수술을 지양하며 운동요법과 물리치료 등 보존적 치료를 권한다.
이 기사와 관련기사
의료계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