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다니는 병원에서 환자에게
설명을 가장 잘하는 의사는 누구일까?
예전에는 ‘병을 잘 고치는 의사’가 명의(名醫)였다. 지금도 병을 잘 고치는 의사가 명의라는 것은 부인할 수 없다. 하지만 인터넷의 발달로 인한 의료정보 개방화로 의사에게 상세한 설명을 원하는 환자들이 생기면서 명의의 조건에 환자와 커뮤니케이션을 잘하는 것도 추가됐다.
진료실에서 의사와 환자 간 소통이 잘 이루어지지 않으면 상호 간의 신뢰와 관계 형성이 어려워서 좋은 치료 결과를 얻기 힘들다. 이처럼 의사와 환자의 관계가 질병 중심의 관계에서 환자 중심의 관계로 변화하고 있다. 의료계도 변화의 흐름에 적극 동참하고 있다. 대한의료커뮤니케이션학회가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고, 진료 면담 및 소통법을 가르치는 의과대학의 수가 늘어나고 있다. 그렇다면 환자가 치료를 받는 병원에서는 어떨까.
<헬스조선>은 올바른 의료문화 개선을 위한 좋은 의사 시리즈 첫 번째 기획으로 대학병원에서 환자들에게 설명을 잘하는 의사를 꼽았다. 전국 43개 상급종합병원을 대상으로 조사했으며, 총 33곳의 병원에서 152명의 의사를 추천받았다. 환자에게 최상의 진료를 제공하기 위해 의술은 물론 인술도 펼치고 있는 의사들을 소개한다.
경상도
양산부산대병원

신경과 조재욱 교수
진료지원실장
부산대 의과대학 졸업
전문진료 분야: 뇌전증, 기면증 등 수면 장애
의사의 상징인 흰 가운을 입지 않는다. 좀더 친근하게 환자에게 다가가기 위한 노력이다. 조 교수는 검사 결과를 전화로 설명하기도 한다. 환자들이 결과를 듣기 위해 병원에 또 와야 하는 번거로움을 덜어주기 위해서다.

흉부외과 제형곤 교수
흉부외과장
부산대 의과대학 졸업, 울산대 의학박사
전문진료 분야: 심장판막수술, CABG대동맥수술, 로봇심장수술, 심장이식, 일반흉부수술
수술 전 검사, 수술 동의서 작성, 수술 후 퇴원 교육 모두 직접 관리하는 등 환자 마음이 놓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한다. 환자들이 설명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블로그에 자료를 올리고, 책으로 설명하며 수술 후 관리를 돕기도 한다.

외과 김현열 교수
부산대 의과대학 졸업 및 동대학원 의학석사
전문진료 분야: 유방암수술 및 치료, 갑상선암 수술, 로봇 및 내시경 갑상선 수술
환자를 세심하게 보듬어주는 의사로 알려져 있다. 여성 환자는 여성 전용 병동에 입원하게 해 편안하게 지낼 수 있도록 배려한다. 하루 두 번 회진을 돌며 환자 상태를 꼼꼼히 체크하고,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도록 환자에게 책자를 제공한다.

성형외과 남수봉 교수
부산대 의과대학 졸업 및 동 대학원 의학박사
전문진료 분야: 유방 재건 및 유방미용 수술, 욕창재건수술
환자들이 마음을 다잡을 수 있도록 세세한 부분까지 신경 쓴다. 환자의 마음 상태가 수술 결과에 좋은 영향을 미친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수술 과정에 대한 설명을 꼼꼼히 하는 건 물론이고 수술 후 치료 및 관리를 모두 직접 해 환자가 불안하지 않도록 한다.
이 기사와 관련기사
의료계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