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바이오헬스 육성에 국가적 역량을 집중해 반도체에 이어 차기 주력산업으로 키우겠다고 거듭 밝혔다.
정부는 2025년까지 연구개발(R&D) 예산 4조원을 투자해 신약 분야 원천기술과 바이오산업 핵심기술 개발 등을 지원한다. 또한 임상시험으로 인한 일시적 부채를 인정하는 등의 규제개선 로드맵을 내년부터 이행한다. 2000명 규모의 바이오공정 인력양성센터도 구축하기로 했다.
정부는 4일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혁신성장전략회의 겸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혁신성장 보완계획을 확정했다.
홍남기 부총리는 모두발언에서 “정부는 올 한해 어려운 경제 여건에서도 혁신성장을 추진하기 위해 노력했지만 구체적 성과를 창출하기에 많은 부분이 미흡했다”며 “혁신성장의 큰 틀을 채우는 구체적 정책 추진방향들에 대한 폭넓은 공감대 형성과 추진동력의 결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혁신성장 정책과제들을 종합해 앞으로는 ‘4+1의 전략적 프레임’ 안에서 일관성있게 강력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정부가 밝힌 4+1프레임은 ①기존 주력제조와 서비스산업의 혁신 및 생산성 향상, ②창업을 포함한 신산업과 신시장의 신규 창출, ③혁신기술 확보와 연구개발 혁신, ④혁신인재와 혁신금융 등 혁신자원 고도화 등 4개 전략분야와 이를 뒷받침하는 ⑤제도와 인프라 혁신이다.
이 가운데 바이오헬스산업은 ②신산업과 신시장의 신규창출과 관련해, 바이오헬스 분야 창업에 내년 300개사가 총 450억원을 지원 받는다.
③혁신기술 확보와 연구개발 혁신과 관련해서는 마이크로옴(인체 특정 부분에 존재하는 미생물과 이들의 유전체 정보), 전자약(뇌와 시경세포에서 발생하는 전기신호로 질병을 치료하는 전자장치), 인체장기 3D프린팅(인공 신장과 혈관 등을 찍어내는 프린터 기술) 등에 대한 선도적 개발로 미래 바이오시장을 선점하도록 돕는다.
이날 회의에서는 식품산업 육성과 수출에 관한 대책도 나왔다. 최근 한류 붐과 함께 K-팝(Pop), K-뷰티(Beauty), K-푸드(Food) 등이 활발히 수출돼 지난해 산업규모가 12.4조원에 달했는데 이를 2030년 24.9조원으로 2배 육성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고령친화식품, 펫푸드 등 맞춤형 식품 유형을 신설해 초기 시장을 선도하도록 돕는다. 건강기능식품의 판매영업 신고를 면제해 건기식 시장을 활성화한다. 또 ‘무농약원료가공식품 인증제’를 신설해 친환경 식품 시장을 확대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