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건복지부는 최근 2023년까지 에이즈 퇴치를 목표로 하는 '후천성면역결핍증(에이즈) 예방관리 대책'을 수립했다고 밝혔다. 우리나라는 에이즈 발생 환자 수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각 36개 중 두 번째로 낮은 수준이지만, 2018년 기준 신규 발생 환자가 1000명을 넘었다(1206명). 전체 환자 수는 1만명이 넘는다. 에이즈는 HIV(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증상이 발생한 상태인데, 이 둘의 관계에 대해서도 헷갈리는 사람이 많다. 관련 궁금증을 풀어본다.
Q. HIV와 에이즈는 같은 말이다? (X)
HIV와 에이즈는 다른 말이다. HIV는 에이즈를 일으키는 원인 바이러스를 말하며 에이즈는 후천성면역결핍증후군의 영어약자로 HIV 감염으로 면역이 결핍되어 나타나는 상태를 말한다.
Q. HIV에 감염된 사람을 에이즈 환자라고 부른다? (X)
HIV 감염인이란 HIV에 감염된 모든 사람을 말한다. 그중 질병이 진행되어 면역체계가 손상, 저하되었거나 감염증, 암 등의 질병이 나타나는 사람을 에이즈 환자라고 한다.
Q. HIV 감염인과 음식을 함께 먹어도 HIV에 감염 되지 않는다? (O)
HIV 감염인과 한 그릇에 담긴 음식을 떠먹는 경우 감염인의 숟가락에 감염인의 침과 함께 바이러스가 묻어 나와 HIV 감염이 될까 걱정하는 사람들이 있다. 하지만 음식에 들어간 HIV는 생존할 수 없어 HIV 감염을 일으킬 수 없다.
Q. HIV 감염인과 손을 잡거나 같이 운동을 해도 HIV에 감염이 안 된다? (O)
HIV는 성관계나 상처, 점막 등을 통해 상대방의 몸속으로 들어가야 감염될 가능성이 있다. 일상적인 신체접촉으로 교환될 수 있는 체액인 땀에는 극히 소량의 바이러스가 들어있어 상대방의 몸 안으로 들어간다 해도 HIV 감염을 일으킬 수 없다.
Q. HIV 감염인과 키스를 해도 HIV에 감염 되지 않는다? (O)
키스만으로는 감염을 일으킬 만한 충분한 양의 HIV가 몸 안으로 들어갈 수 없다. 침에는 1mL당 5개 미만의 극히 적은 양의 바이러스가 들어 있기 때문이다. 즉, 키스를 통해 감염인의 침이 상대방에게 들어가더라도 HIV 감염을 일으킬 수 없다.
Q. 모기를 통해 HIV에 감염된다? (X)
HIV는 인간 체내에서 생존하고 증식하면서 감염인의 혈액이나 체액을 통해 사람에서 사람으로 전파되는 질병으로, HIV를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라고 한다. 따라서 HIV 감염인을 문 모기나 벌레 등을 통해서는 HIV에 감염되지 않는다.
Q. HIV 감염인과 한 번이라도 성관계를 가지면 HIV에 감염된다? (X)
HIV 감염인과 성관계를 가졌다고 해서 모두 감염되는 것은 아니며 1회 성관계로 감염될 확률은 0.04~1.4% 정도로 낮다. 하지만 이는 평균 감염률로 단 한 번의 성관계로도 감염될 수 있기 때문에 성관계 시에는 반드시 콘돔 사용을 습관화해야 한다.
Q. HIV 검사(에이즈 검사)는 실명으로 안 해도 된다? (O)
에이즈에 대한 사회의 편견과 차별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HIV 검사를 기피한다. 이로 인해 익명검사를 법으로 규정하여(후천성면역결핍증예방법 제8조제4항) 권장하고 있다. HIV 익명검사를 원하는 사람은 보건소나 의료기관을 찾아가 검사 전에 익명검사를 요청하면 된다.
Q. 몸에 붉은 반점이 나타나면 무조건 에이즈 인가요? (X)
초기 증상으로 붉은 반점이 나타나기도 하지만 이것만으로 에이즈를 확진하지는 않는다. HIV 감염의 초기 증상으로는 열, 근육통, 감기증상 등의 다른 질병에서도 나타날 수 있는 비특이적인 증상들이다. 증상만으로 HIV 감염을 진단할 수 없어, 반드시 HIV 검사를 통해 확진 받아야 한다.
Q. HIV에 감염되면 바로 죽게 된다? (X)
아무런 치료를 받지 않아도 면역결핍으로 인한 사망에 이르기까지 약 10~12년의 기간이 경과되어야 한다. 하지만 올바른 치료와 건강 관리를 한다면 30년 이상 건강하게 살 수 있다. 현재 에이즈는 더 이상 죽는 병이 아닌 '만성질환'으로 분류한다.
Q. 에이즈는 치료제가 있다? (O)
현재 HIV 감염인들이 복용하는 치료제는 완치제는 아니지만 HIV의 증식을 억제하여 질병의 진행을 지연시키는 약이다. 현재는 탁월한 치료제가 많이 개발돼 꾸준한 약제의 복용을 통해 감염인은 얼마든지 건강한 삶을 살 수 있다.
Q. 감염인의 혈액이나 체액이 인체 밖으로 나올 경우 그 안에 있는 HIV는 장시간 생존한다? (X)
그렇지 않다. 바로 비활성화되거나 사멸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