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방역대책본부는 중증 코로나 환자가 의료진읜 판단 하에 렘데시비르를 지속해서 투여하는 것이 권고된다고 23일 밝혔다./사진=조선일보 DB
식품의약품안전처와 질병관리청은 최근 세계보건기구(WHO)에서 발표한 ‘렘데시비르’의 임상시험 결과 관련, 제품의 허가사항에 따라 의료진의 판단 아래 투여하는 것이 지속 권고된다고 23일 밝혔다.
세계보건기구에서는 ‘렘데시비르’ 임상시험 결과, 사망률 및 치료 기간 등에 있어 대조군과 시험군 간 차이가 없었다고 지난 15일 발표한 바 있다. 하지만 해당 연구 결과는 학술논문 게재절차상 동료심사(peer review) 과정을 거치지 않은 상태다.
이와 관련하여 식약처와 질병청은 발표내용 검토 및 전문가 자문 결과, 투여시기, 중증도별 하위군 분석 등 추가적인 자료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했다.
추후 세계보건기구 임상시험에 대한 최종 결과가 발표되면 시험에 등록된 대상환자, 시험을 실시한 지역 의료환경 등 시험방법과 결과에 대해 면밀하게 검토하고 전문가 자문을 비롯해 해외 규제 당국과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식약처는 국내 코로나19 환자 치료를 위해 미국 국립 알레르기 및 전염병 연구소(NIAID)에서 주도한 임상시험 결과에 근거하여 보조 산소가 필요한 중증 입원환자 등에 한하여 렘데시비르를 사용하도록 지난 7월 24일 허가했다.
또한 코로나19 환자에서 렘데시비르가 치료기간을 5일(P<0.001) 단축했다는 결과는 임상적으로 의미가 있는 것으로 판단했다.
식약처 코로나19 전문가위원회 및 신종감염병 중앙임상 위원회는, 미국 NIAID가 신뢰도가 높은 연구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의약품 효과에 대한 과학적 근거가 있다고 판단되어 렘데시비르를 코로나19의 치료제로 사용하는 것을 유지해야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저작권자 ⓒ 헬스조선.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와 관련기사
- 코로나19 사망자 346명, 97%가 고혈압·당뇨병 등 기저질환자
- 다시 뜬 코로나 특효약? 클로로퀸·덱사메타손 뭐길래…
- 말라리아 치료제 '클로로퀸' 코로나19 치료·예방 효과 없다
- 코로나 사망자 97% 기저질환자… 가장 많았던 질환은?
- WHO "렘데시비르, 코로나 사망률 못 낮춘다"
- 코로나19, 완치까지 평균 20일 걸린다
- 가을, 코로나19 백신 오나… 아스트라제네카·화이자 초기시험 성공
- "무증상 코로나19 환자도 바이러스 배출량 비슷"
- 미국, 미성년 코로나 감염 급증… 2주간 약 10만명 늘어
- 박태준 확진, 후각 사라졌다… 코로나 그 밖의 증상은?
- 코로나 시대의 여름휴가, '척추피로증후군' 주의를
- 우사인 볼트 확진? "코로나19 검사 결과 기다리는 중"
- 임상위 "코로나19 치료 효과 '렘데시비르·덱사메타손' 외엔 없어"
- 코로나 중증환자, 일주일새 3배 증가... 사망자 거의 100% 만성질환 보유
- 코로나19 '재감염' 확인... 백신은 믿을 수 있을까?
- 美 모더나 코로나19 백신… “노년층 전원 항체 형성”
- '뚱뚱한' 사람, 코로나 사망률 '3배' 높다?
- 결국 카페·식당 접수한 코로나19… 먹을 땐 '침묵'해야
- 코로나19의 성차별?… '나이 든 남자'가 더 위험하다
- 코로나19 중증환자 '정점' 임박한데… 수도권 병상 42% 부족
- [속보] 코로나19 신규확진 371명… 사흘째 300명 이상
- 서울대병원, 코로나19 중증환자 치료병동 추가 운영
- 수도권 사실상 '3단계' 방역… 대형 카페, 테이크아웃만 허용
- 대구 교회 집단 감염… 29명 확진자 추가 발생
- 코로나 신규 248명 증가… 서울 91명·경기 79명 늘어
- 서울대병원, ‘날카로운 명사수’ 암치료 중입자가속기 도입
- 미 FDA, 렘데시비르 정식사용 승인… 첫 코로나 치료제
- "코로나 사망 위험, 남자가 여자보다 높아"
- 전북서 AZ 백신 접종 기저질환자 2명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