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0~50대가 되면 전에 없던 어깨 통증을 겪기 쉽다. 어깨 질환 종류는 다양한데 일부는 아파도 어깨를 더 움직여야 증상이 완화되는 반면, 운동을 주의해야 하는 질환도 있다.
어깨를 더 움직여야 하는 어깨 질환은 오십견이다. 오십견은 어깨 관절이 굳어가는 병으로, 정확한 의학적 명칭은 유착성관절낭염 또는 동결견이다. 어깨 관절은 관절주머니(관절낭)이 감싸고 있고, 그 안에는 윤활유 역할을 하는 관절액이 차 있다. 오십견은 말랑말랑하던 관절주머니가 노화되면서 주변에 들러붙고 딱딱해져 생긴다. 보통 자연적으로 치유된다. 힘찬병원 이수찬 대표원장은 "아파도 참고 운동을 꾸준히 해 굳어 있는 관절낭을 늘리면 증상이 나아진다"고 말했다.
오십견과 달리 어깨 힘줄 파열은 운동할 때 주의가 필요하다. 어깨 힘줄 파열은 어깨뼈와 위팔뼈를 단단하게 붙잡아주는 어깨 힘줄이 끊어져 힘이 떨어지는 질환이다. 악화되면 팔을 들기 어렵다. 힘줄 파열 역시 저절로 회복되는 경우가 많다. 이수찬 원장은 "어깨 파열도 힘줄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운동하면 도움이 되지만, 완전 파열로 악화될 가능성이 있어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한다"고 말했다.
오십견과 어깨 파열의 가장 큰 증상 차이는 다음과 같다. 오십견은 강제로 팔을 들어올려도 팔이 올라가지 않고, 통증이 전방·후방에서 전반적으로 나타난다. 어딘가 걸리는 느낌이 들고 그 이상 올리면 통증이 심하다. 반면 어깨 힘줄 파열은 강제로 팔을 들어 올리면 아프긴 해도 올라간다. 어느 부위까지는 아프다가 그 단계를 지나면 통증이 덜해진다. 팔의 힘을 뺀 상태로 다른 사람이 팔을 대신 올려주면 더 잘 올라간다.
단, 명확한 질환 구분은 의사 진단, MRI 등으로 정밀검사를 받아봐야 알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