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름엔 물놀이를 즐기는 인구가 늘어난다. 하지만, 물놀이 중 평소 사용하지 않던 근육, 관절 등을 사용하면서 몸살이 나거나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해 어깨가 아프다면 '어깨충돌증후군'을 한 번쯤 의심해보자.
◇어깨 움직일 때 '뚝뚝' 소리 나기도
어깨충돌증후군은 어깨의 볼록한 부분과 팔 위쪽의 뼈 사이가 좁아져서 어깨 힘줄이 충돌해 통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팔을 옆으로 들거나, 운동할 때 통증이 느껴지지만 팔을 머리 위로 아예 들어 올리면 오히려 통증이 사라진다는 특징이 있다. 이렇다 보니 증상을 방치하기도 하는데, 그럴수록 만성화될 수 있어 빠른 진단이 중요하다. 구체적인 증상은 ▲팔을 어깨보다 높이 들어 올렸을 때 통증이 느껴지고 ▲어깨 속에 뭔가 걸리는 느낌이 들고 ▲어깨를 움직일 때마다 '뚝뚝'하는 소리가 나는 것이다. 특히 수영은 팔을 들어 올리는 동작과 아래로 물을 잡아당기는 동작을 반복하는데 이때 잘못된 자세로 인해 어깨충돌증후군이 발생하기 쉽다.
안양국제나은병원 박형근 원장은 "수영 후 어깨통증은 대부분은 근육통이지만, 어깨충돌증후군 생길 가능성도 있다"며 "어깨충돌증후군을 대수롭지 않게 여기고 방치했을 경우 어깨 힘줄이 파열되는 회전근개파열까지 이어질 수 있어 위험하다"고 말했다.
◇손상된 힘줄 봉합하는 치료 필요해
어깨충돌증후군은 진단에 따른 치료가 다르므로 반드시 정형외과를 방문해 전문의 진단 후 본인에게 맞는 방법으로 치료받아야 한다. 통증이 발생한 직후는 냉찜질이 도움 되지만 통증이 지속되는 경우 약물치료나 주사, 물리치료를 받으면 대부분 회복된다. 통증이 심한 경우나 회전근개파열과 같은 다른 어깨질환이 동반된 경우엔 관절내시경 수술도 고려한다. 관절내시경 수술은 어깨 힘줄과 충돌이 있는 견봉 부위를 다듬고 손상된 힘줄을 봉합하는 치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