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의 골밀도가 낮으면 자녀도 골밀도가 낮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인제대 상계백병원 소아청소년과 박미정 교수와 동국대의대 최한석 교수팀은 2008~2011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5947명(10-25세 자녀 2812명과 부모 3135명 )의 부모 자녀 골밀도를 분석했다. 그 결과, 자녀의 골밀도는 부모의 골밀도와 강한 관련성을 보였다. 부모-자녀 유전율은 아들의 경우 20~54%, 딸의 경우 40~69%로 나타났다. 자녀의 골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본인의 칼슘섭취량, 비타민 D 섭취량, 흡연, 음주 등 환경적 인자도 중요하지만 이보다 부모의 골밀도가 더욱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특히 양쪽 부모가 골밀도 낮으면 자녀가 골밀도 낮을 위험률 7~10배 증가하였고 엄마가 골밀도 낮으면 딸(자녀)이 골밀도 낮을 위험률 5배 증가했다. 최한석 교수는 “부모의 골밀도가 낮은 경우 20대에 달성되는 자녀의 최대 골량이 낮을 수 있고 이는 향후 골다공증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높다"며 "부모의 골밀도가 낮은 자녀는 어릴 때부터 골 건강과 관련한 교육 및 운동 , 생활습관 교정 (적절한 칼슘 및 비타민 D 섭취 )에 신경쓰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이어 박미정 교수는 “과거에는 골다공증이 노인질환으로 여겨 졌으나 최근 젊은 층과 청소년에서도 골밀도 저하가 심각한 상태"라며 "심한 저체중군, 스테로이드나 항경련제등 약물 장기복용군, 장 흡수장애, 움직임이 거의 없는 고위험군과 더불어 골다공증 가족력이 있다면, 일찍이 골건강을 체크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연구결과는 국제골다공증학회지 (Osteoporosis International) 2016년 10월호에 게재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