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변 초미세먼지, 치매 위험 12% 높여… 이유는?

입력 2017.04.10 10:46
미세먼지 심한 도로 마스크 끼고 걷는 여성
도로변에는 입자가 작은 초미세먼지가 많기 때문에, 주변에 사는 사람은 초미세먼지로 인해 뇌 신경세포가 손상되면서 치매가 생길 위험이 크다/사진=조선일보 DB

도로 근처에 오래 살수록 초미세먼지에 많이 노출되면서 치매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초미세먼지는 지름이 2.5㎛인 입자가 매우 작은 미세먼지를 말한다. 

캐나다 공중보건 연구진이 11년간 장기 추적조사를 한 결과, 도로 가까이 사는 사람일수록 치매 위험이 높았다. 구체적으로 주요 도로에서 50m 이내에 사는 사람은 200m 밖에 사는 사람보다 치매 위험이 최대 12%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차량에서 배출되는 미세먼지의 90% 이상은 초미세먼지인 것으로 알려졌다.

도로변에 사는 사람의 치매 위험이 높은 이유는 초미세먼지 입자가 뇌로 직접 침투할 수 있는 탓이다. 미세먼지가 뇌 속으로 들어가면 염증반응이 일어나고 신경세포를 손상시켜 알츠하이머성 치매를 유발할 수 있다. 초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지역에 사는 여성이 낮은 지역에 사는 여성에 비해 인지기능 저하 위험이 81%, 치매 발생률이 92% 높았다는 미국 서던 캘리포니아 대학의 연구결과도 있다.

초미세먼지는 이 밖에 뇌졸중이나 우울증 위험도 높인다고 알려졌다.


�좎럩伊숋옙�논렭占쎈뿭�뺝뜝�덌옙占쎈씢�앾옙袁わ옙節낅쐻占쎌늿�뺝뜝�꾪�f뤃�k쐻占쎈슢�у뜝�뚮땬占쎌늼肉숋옙�먯삕 �좎럩伊숋옙�논렭占쎈뿭�뺧옙�얠삕占쎈뿭�뺝뜝�꾪돫�닿엥�앾옙��ぃ�좎룞�� �좎럩伊숋옙�논렭占쎈뿭�뺝뜝�숈삕占쎈뿭�뺝뜝�덈걦藥뀐옙�앾옙��첓�좎떥�곗굲�좎럥흮占쎈틶�앾옙��뮔�좎럩沅랃옙�얠삕占쎈뜆援뀐옙醫롫윪鴉딆늹�댐옙臾믪굲占쎌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