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시간 근로하는 사람은 갑상선기능저하증 위험이 더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국립암센터 갑상선내과 이영기 전문의 연구팀은 2013년부터 2015년까지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성인 216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이들의 갑상선 혈액 검사 기록을 통해 갑상선 기능을 진단했다. 연구 결과, 1주일에 53~83시간 일한 사람은 1주일에 36~42시간 일한 사람보다 갑상선기능저하증 유병률이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근로시간이 10시간 늘어날 때마다, 갑상선기능저하증 위험은 46% 증가했다.
연구팀은 근로시간이 갑상선기능저하증과 연관되는 정확한 원인은 밝혀내지 못했다. 다만 장시간 근무를 하면 과로로 인해 심혈관질환과 당뇨병, 비만, 대사증후군 등을 유발할 수 있다. 갑상선기능저하증 역시 이러한 질환들과 연관된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팀은 근로시간이 갑상선기능저하증을 유발하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함을 강조했다.
연구를 주도한 이영기 박사는 "이번 연구 결과의 인과관계가 확립되면 갑상선기능저하증이 있는 장시간 근로자에게 근로시간 단축을 권장할 수 있다"며 "장시간 근로자의 건강 검진 프로그램에 갑상선 기능 검사를 포함시킬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갑상선(Thyroid)'에 최근 게재됐다.
이 기사와 관련기사
의료계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