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백내장 수술은 한국인이 가장 많이 하는 수술이지만, 백내장 수술 후에 생긴 부작용 사례도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한국소비자원에 최근 3년간(2017~2019년) 접수된 안과 소비자 상담은 총 1635건이고 그중 백내장 상담은 523건(32%)으로 가장 많았다. 또한 안과 진료 관련 피해구제 신청은 총 84건이었는데, 백내장이 40건(47.6%)으로 절반 가까이 차지했다. 전문가들은 백내장 수술은 10분 만에 끝나는 ‘간단한’ 수술로 알고 있지만, 작고 예민한 눈을 다루는 수술이므로 환자에 따라 까다로울 수 있다고 말한다. 백내장 수술은 안과 질환 중에 가장 많이 시행되는 수술이다보니 부작용 빈도가 많은 것으로 추정한다.
안내염, 후발 백내장이 주요 부작용
한국소비자원 조사에 따르면 백내장 수술 부작용은 ‘안내염’과 ‘후발 백내장’ 발생이 각각 6건(15.8%)으로 가장 많았고 ‘후낭파열’ 발생 5건(13.2%) 순으로 나타났다. 안내염이란 안구가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감염된 상태를 말한다. 한길안과병원 조범진 진료원장은 "안구는 세균 등이 잘 자랄 수 있는 좋은 환경이라 위험하다"며 "안내염을 초기에 진압하면 시력 장애 등 후유증이 남지 않지만, 심하면 실명까지 이를 수 있다"고 말했다. 후발 백내장이란 백내장 수술 후 보존된 수정체낭에 혼탁이 발생하는 증상이다. 후낭파열은 수정체를 싸고 있는 얇은 막 뒷부분인 후낭이 파열되는 증상이다.
백내장 수술은 각막의 가장 자리를 2.2~3mm 작게 절개한 뒤 혼탁한 수정체를 들어내야 하는데, 수정체를 싸고 있는 얇은 막(1㎛ 두께)의 주머니는 그대로 두고 알맹이인 수정체만 도려내야 한다. 그러나 수정체 주머니 막이 워낙 얇기 때문에 수술을 하다 찢어지거나 손상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전문가들은 적어도 1000건 이상 백내장 수술 경험이 쌓여야 실패율을 낮출 수 있다고 말한다.
고혈압, 당뇨병, 망막 이상 환자 특히 주의를
이번 조사에서 백내장 수술 전 시력으로 회복하지 못하고 ‘시각장애’까지 이르게 된 경우가 부작용 사례 38건 중 16건(42.1%)에 달했다. 이 가운데 고혈압, 당뇨병 등 내과 질환이나 원래 안과 질환을 갖고 있던 사람이 14건(87.5%)으로 대다수를 차지했다. 한림대 춘천성심병원 안과 김패트릭 교수는 “혈압이나 혈당이 조절되지 않은 환자는 수술 부작용 발생 빈도가 높다”며 “백내장 수술 전에 혈압·혈당을 안정적으로 유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포도막염 같은 안과 질환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최소 3개월은 염증이 없어야 백내장 수술을 할 수 있으며, 황반변성 등 망막 질환이 있는 사람은 백내장 수술 결과가 완전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환자에게 알려야 한다고 김 교수는 설명했다.
백내장 수술 후 통증·충혈 있으면 즉시 진료를
백내장은 투명한 수정체에 혼탁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나이가 들면 누구에게나 발생한다. 백내장이 심해지면 시야 흐려짐, 빛번짐, 복시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일상생활에 불편을 느낄 정도로 증상이 심하면 혼탁한 수정체를 인공수정체로 갈아끼우는 수술을 해야 한다. 방치하면 수정체 혼탁이 너무 심해져 실명까지 올 수 있으므로 적절한 시점에 수술을 해야 한다.
다만 백내장 수술을 했다면 경과를 잘 살펴야 한다. 수술 후 눈에 통증·시력 감퇴·충혈이 있으면 안내염일 수 있으므로 즉시 진료를 받아야 한다. 안내염은 실명 등 치명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으므로 반드시 안구에 안대를 부착하고 절대 눈을 비벼서는 안 된다. 김패트릭 교수는 “안내염은 즉시 치료하지 않으면 실명 가능성이 높으므로 응급 진료를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고혈압, 당뇨병이나 녹내장, 포도막염, 망막질환 등이 있으면 정기검진은 필수다.
한편,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발간하는 주요수술통계연보에 따르면 백내장 수술을 받은 환자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2016년 51만 8663명에서 2017년 54만 9471명, 2018년 59만 2191명으로 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