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에게 유난히 높은 중성지방 콜레스테롤만큼 위험하다

밥만 많이 먹어도 중성지방 수치 높아져
삼겹살 포화지방 쉽게 중성지방으로 변해

삼겹살에 소주, 된장국에 밥 한 공기로 마무리하는 조촐한 회식은 샐러리맨들의 빼놓을 수 없는 낙이다. 이런 밥과 고기, 그리고 어른들이 좋아하는 한 잔의 술은 우리 몸에 어떤 변화를 불러올까? 그 여정(旅程)을 따라가보자.

밥은 탄수화물 덩어리다. 밥이 입과 식도, 위를 지나 소장에서 포도당 형태로 흡수돼 혈액 속으로 들어간다. 포도당은 우리 몸이 가장 빠르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에너지원이다. 특히 신경계를 관장하는 중요한 기관인 뇌는 오직 포도당만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며, 혈액 속에서 산소를 실어 나르는 적혈구도 마찬가지다. 혈액 속 포도당은 말초 조직으로 보내져 몸을 움직이고 숨을 쉬는 등 몸의 활동에 쓰인다.

혈액 속 포도당을 다 쓰지 못하고 남는 경우가 있다. 그러면 몸은 나중에 꺼내 쓰기 위해 일종의 '단기 적금'을 들어둔다. '인슐린'이란 호르몬이 포도당을 '글리코겐'으로 바꿔 간이나 근육 속에 저장한다. 하지만 간과 근육에 저장할 수 있는 글리코겐의 양은 300~400g밖에 안 된다. 저장하고도 남은 포도당도 버리지 않는다. 포도당이 몸 안의 지방 세포 속으로 들어가면 중성지방으로 바뀌어 저장된다. 이 때문에 지방을 먹지 않아도 밥과 같은 탄수화물을 많이 먹으면 '뱃살'이 늘어난다. 이 중성지방은 혈액 속으로 쉽게 녹아 나와 혈중 중성지방 수치를 높인다.

삼겹살과 밥, 소주를 먹고 난뒤 채취한 혈액(오른쪽)과 식전 혈액을 원심분리한 모습. 맨 윗 부분 노란색의 혈청은 중성지방이 많은 경우 눈으로 봐도 희뿌옇다. /신지호 헬스조선 기자 spphoto@chosun.com

지글지글 구운 삼겹살. 지방은 가장 많은 에너지를 내는 원료다(1g당 9㎉). 육류 속 지방은 몸 안에 들어와 일부는 에너지로 사용되지만, 나머지는 중성지방 형태로 저장된다. 사람 몸의 비축 에너지의 75~80%가 중성지방이다. 이는 오래 굶을 때 등 비상 사태 때 에너지원으로 쓰는 일종의 '장기 적금'이다.

삼겹살의 지방은 위와 십이지장 등을 거치면서 분해돼 소장에서 '지방산'의 형태로 흡수된다. 흡수된 지방산은 혈액 속에서 3개씩 합쳐져 '중성지방(triglyceride)'으로 바뀐다. 이 중 일부는 에너지원으로 사용되고, 남은 것들은 간으로 보내지거나 지방조직에 저장된다. 지방 중에서 육류에 많은 포화지방은 견과류 등에 있는 불포화 지방보다 중성지방으로 쉽게 바뀐다.

1 · 2
�섎즺怨� �댁뒪 �ъ뒪耳��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