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 24주 초미숙아도 건강히 치료...태어난 직후 초기 처치 중요

입력 2019.10.30 16:25
임신주수 24주 이하 초미숙아도 건강히 생존할 수 있다
임신주수 24주 이하 초미숙아도 건강히 생존할 수 있다./한림대 동탄성심병원 제공

황미정(가명․36세)씨는 올해 3월 임신 24주에 양막이 파수돼 양수가 거의 남지 않은 상태에서 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 산부인과로 전원됐다. 산모는 약 한달 전부터 지속적인 양수 누출이 있었고, 염증수치도 높았다. 산부인과에서는 초기처치를 하고 조산을 늦출 수 있는 치료를 시도했으나 태아의 심박동수가 간헐적으로 감소하는 모습을 보여 전원 한 시간 30분만에 출산이 이뤄졌다. 아기는 출생과 동시에 매우 위중한 상태였다. 엄마 뱃속에서 6개월만에 태어난 아기는 몸무게가 730g밖에 되지 않는 초미숙아였다. 호흡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전신의 생체징후가 불안정했다.

소아청소년과(신생아학) 최서희 교수를 비롯한 신생아중환자실팀은 출산 직후 호흡곤란을 겪는 아기에게 심폐소생술을 시행했다. 동시에 여러 가지 약물치료와 보존적 치료를 했다. 또 대동맥과 폐동맥의 연결 혈관인 동맥관이 출생 직후에도 닫히지 않고 계속 열려 있어 이를 묶는 결찰술을 시행했다. 황씨는 아기의 치료과정을 들을 때마다 불안감을 놓지 못했고 수개월 동안 면회시간마다 아기를 보기 위해 신생아중환자실을 찾았다. 최근 아기가 퇴원해 엄마의 품으로 돌아갈 수 있다는 반가운 소식을 듣게 됐다. 신생아중환자실에서 패혈증 예방 등 세심한 치료를 받은 아기는 현재 특별한 신경학적 합병증 없이 몸무게 5kg을 넘기고 건강한 모습으로 퇴원 예정이다.

통계청이 발표한 지난해 우리나라의 출생아수는 32만7000명으로 1970년 통계 작성 이래 가장 적었으며, 올해 출산율은 30만명을 못 넘을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여성 한 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인 합계출산율은 한 명도 채 안 되는 0.98명으로 사상 최저로 떨어졌다.

기록적인 저출산에도 고령 임신과 시험관 임신 등 고위험산모는 갈수록 늘고 있다. 고위험산모는 자궁경부무력증, 임신성 당뇨, 임신성 고혈압 등의 여러 위험요인을 동반하고 있어 조산의 위험성이 있다. 때문에 조산이 임박했을 경우 미숙아를 수용할 수 있는 병상과 의료진, 의료 장비가 필수적이다.

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 신생아중환자실은 2017년 1월 1일 신생아집중치료 지역센터로 선정된 뒤 현재까지 3년간 지역 내에서 발생하는 고위험산모의 출생 및 고위험신생아 치료를 도맡고 있다. 최근에는 생존한계로 알려진 임신주수 26주에도 못 미치는 임신주수 24주만에 태어난 몸무게 1000g 미만의 초미숙아를 건강히 치료해 퇴원 예정이다.

임신 중기에 태어난 미숙아는 폐포가 발달하지 못해 정상적인 호흡이 불가능하고, 시각과 청각을 포함한 모든 감각들이 미숙하며, 엄마로부터 면역성분도 받지 못한 채 세상의 빛을 보게 된다. 머리부터 발끝까지 모든 부분이 문제가 되며, 심각한 부작용과 후유증을 겪을 수 있다. 때문에 이러한 미숙아는 출생과 동시에 신속하고 적절한 초기처치가 중요하다.

최서희 교수는 “미숙아 생존과 예후는 출생 후 몇분 안에 결정되기 때문에 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 신생아중환자실팀은 골든미닛을 놓치지 않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미숙아의 경우 이러한 초기처치의 중요성 때문에 출산 후 전원된 태아보다 본원에서 출산한 태아의 예후가 더 좋게 나타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주수가 어릴수록, 체중이 작을수록 장기의 성숙도가 감소하고 감염에 취약한 문제가 있어 합병증과 후유증이 발생할 확률이 증가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 신생아학의 발전으로 인하여 이러한 문제점들이 점차 감소하고 있는 추세다. 또한 저출산에 대한 정부지원의 증가로 조산과 관련한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어 미숙아를 출산한 보호자들의 부담과 두려움, 걱정을 감소시킬 수 있다.

최서희 교수는 “미숙아들은 출생 후 교정연령 36주 이상, 체중 2kg 이상, 주사 약제의 치료가 종료되고 생체징후가 안정적인 경우 퇴원이 가능하다”며 “작은 아기들일수록 입원일수가 증가하게 되므로 환자의 가족들이 있는 거주지 근처에서 치료를 받게 된다면 아기에 대한 접근성이 증가하므로 치료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고 말했다.

�좎럩瑗띰쭩酉몌옙�⑥삕 �좎럥�삼옙占� �좎떬�낅츩占쎈냲�쇿뜝��占쏙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