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식품업체들이 연달아 가격 인상 계획을 밝히고 있는 가운데, 농림축산식품부는 수입 원재료 가격과 경영비 부담 상승을 원인으로 지목하고, 세제ㆍ금융 지원 등 물가안정을 위해 지속 노력해 나가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24일 한국일보 ‘밀가루 등 원재료 매입가 하락에도... 가격 올린 식품업체들’, 경향신문 ‘내달 라면ㆍ맥주ㆍ유제품까지... 가공식품 줄줄이 오른다’ 등 다수 매체에서 “원재료 가격 하락에도 정치 불안 등을 틈타 가공식품 업체들이 가격을 올리고 있다”는 내용을 보도한 것과 관련, 농식품부는 “가공식품ㆍ외식 물가는 상대적 차이는 있으나 전체 물가지수 및 타 분야와 추이를 같이 하고 있다”면서, “식품ㆍ외식 물가안정과 국민 부담 완화를 위해 최근 몇 년간 업계와 긴밀히 소통해 왔으며, 업계도 인상품목과 인상률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 왔다”고 했다.
농식품부는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 최근 일부 업체의 가격 인상은 공급망 불안, 이상기후 등으로 팜유, 코코아, 커피 등 식품 원자재 가격이 높아지고 인건비, 에너지 비용, 환율 상승 등으로 경영비 부담이 누적된 데 따른 것”이라며, “앞으로도 식품 원재료에 할당관세 적용, 수입부가가치세 면제와 같은 세제ㆍ금융 지원 등 식품ㆍ외식 물가안정을 위해 지속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농식품부는 현재 코코아생두, 커피ㆍ오렌지농축액, 설탕 등 19개 품목에 할당관세를 적용 중이며, 올해 말까지 커피ㆍ코코아 수입 부가가치세(10%)를 면제하고 밀, 코코아, 커피, 유지류 등 식품소재 구입자금을 지원(4500억원, 이차보전)한다. 이와 함께 음식점업 외국인 근로자(E-9) 도입조건을 완화(업종: 한식 → 한식+외국식, 업력: 5년(5인 이상) 또는 7년(5인 미만) 이상 → 5년 이상(일원화), 지역: 100개 지역 → 전국)했다.
저작권자 © 식품저널 foodnews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식품저널
나명옥 기자
myungok@food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