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날씨가 따뜻해지고 몸이 활력을 되찾으며 식욕이 증가한다. 오랫동안 이어지는 폭식과 과식은 체중 증가뿐만 아니라 당뇨 등 여러 만성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 폭식과 과식의 구별법과 대처방안에 대해 알아본다.
◇폭식, 스스로 통제하기 어려워
폭식은 짧은 시간 안에 몸이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양의 음식을 먹고, 먹는 동안 음식 섭취에 대한 통제력을 잃는 상태를 말한다. 크게 ‘대식증’과 ‘신경성 폭식증’으로 나뉘는 질환이다. 두 경우 모두 남이 보지 않는 곳에서 폭식한 후 후회하지만, 폭식 후의 반응이 다르다.
대식증 환자는 폭식한 뒤 열량을 소비하지 않기 때문에 비만인 경우가 많다. 대부분 자신이 대식증인지 모르다가 비만 때문에 병원을 찾고 폭식증을 진단받는다.
반면 신경성 폭식증 환자는 입에 손을 넣어 억지로 구토하거나, 설사약·이뇨제 등을 먹어 섭취한 음식을 배설하려 해 정상 체중이거나 마른 사람이 많다.
◇"폭식은 자체로 병"… 원인 찾아야
폭식은 그 자체로 병인 만큼, 과식보다 치료 우선순위를 둬야 한다는 게 전문가의 의견이다. 가천대길병원 가정의학과 김경곤 교수는 “폭식 패턴에 따라 다르지만, 폭식 후 구토가 이어진다면 정신건강의학적 치료가 필요하다”며 “환자가 가지고 있는 음식과 체중에 대한 생각을 개선하는 심리 상담을 진행할 수 있다”고 말했다.
식욕을 억제하는 세로토닌을 조절하는 항우울제 계통의 처방도 이뤄진다. 이외에도 폭식으로 인한 역류성 식도염, 소화기내과 등의 질환도 빠른 치료가 필요하다.
◇과식, 매달 체중 5% 이상 늘었다면 의심해야
과식은 폭식처럼 명확하게 판단하기 어렵다. 식사 때 소화할 수 있는 평균적인 음식량보다 많이 먹을 때 과식한다고 표현한다. 과식은 식습관으로 충분히 조절할 수 있다. 식사할 때 채소류를 먼저 먹는 게 도움이 된다. 채소는 포만감이 금세 느껴지고 오래 지속해 전체 식사량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채소 다음에는 단백질을 먹는 게 좋다. 식사시간에는 식사에만 집중하는 것도 중요하다. 밥 먹을 때 영상 등을 보면 뇌가 식사 행위를 명확하게 인지하지 못해 허기와 포만감이 조절되지 않는다.
◇폭식, 스스로 통제하기 어려워
폭식은 짧은 시간 안에 몸이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양의 음식을 먹고, 먹는 동안 음식 섭취에 대한 통제력을 잃는 상태를 말한다. 크게 ‘대식증’과 ‘신경성 폭식증’으로 나뉘는 질환이다. 두 경우 모두 남이 보지 않는 곳에서 폭식한 후 후회하지만, 폭식 후의 반응이 다르다.
대식증 환자는 폭식한 뒤 열량을 소비하지 않기 때문에 비만인 경우가 많다. 대부분 자신이 대식증인지 모르다가 비만 때문에 병원을 찾고 폭식증을 진단받는다.
반면 신경성 폭식증 환자는 입에 손을 넣어 억지로 구토하거나, 설사약·이뇨제 등을 먹어 섭취한 음식을 배설하려 해 정상 체중이거나 마른 사람이 많다.
◇"폭식은 자체로 병"… 원인 찾아야
폭식은 그 자체로 병인 만큼, 과식보다 치료 우선순위를 둬야 한다는 게 전문가의 의견이다. 가천대길병원 가정의학과 김경곤 교수는 “폭식 패턴에 따라 다르지만, 폭식 후 구토가 이어진다면 정신건강의학적 치료가 필요하다”며 “환자가 가지고 있는 음식과 체중에 대한 생각을 개선하는 심리 상담을 진행할 수 있다”고 말했다.
식욕을 억제하는 세로토닌을 조절하는 항우울제 계통의 처방도 이뤄진다. 이외에도 폭식으로 인한 역류성 식도염, 소화기내과 등의 질환도 빠른 치료가 필요하다.
◇과식, 매달 체중 5% 이상 늘었다면 의심해야
과식은 폭식처럼 명확하게 판단하기 어렵다. 식사 때 소화할 수 있는 평균적인 음식량보다 많이 먹을 때 과식한다고 표현한다. 과식은 식습관으로 충분히 조절할 수 있다. 식사할 때 채소류를 먼저 먹는 게 도움이 된다. 채소는 포만감이 금세 느껴지고 오래 지속해 전체 식사량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채소 다음에는 단백질을 먹는 게 좋다. 식사시간에는 식사에만 집중하는 것도 중요하다. 밥 먹을 때 영상 등을 보면 뇌가 식사 행위를 명확하게 인지하지 못해 허기와 포만감이 조절되지 않는다.
의료계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