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약사들이 신약 하나를 만들기 위해 막대한 비용을 투자한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실제 분석 결과, 지난해 글로벌 제약사들은 1개 신약을 개발하는 데 평균 22억3000만달러(한화 약 3조2700억원)을 쓴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한국바이오협회에 따르면, 글로벌 컨설팅기업 딜로이트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의 연례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에는 20개 글로벌 제약사들의 지난해 신약 개발 비용과 개발비 변화 추이, 증가 요인에 대한 분석 등이 담겼다.
조사 대상에 포함된 제약사들은 지난해 신약 1개를 개발하는 데 평균 22억3000만달러를 투자했다. 이는 전년(21억2000만달러) 대비 약 5.2% 늘어난 금액이다. 비용 증가에는 GLP-1 치료제가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20개 기업 중 12개 기업은 자산당 평균 지출 비용이 급증한 것으로 확인됐다. 그 배경으로는 ▲임상시험 기간 증가 ▲복잡해진 연구 영역 ▲거시 경제적 요인 ▲기술 발전 ▲높은 이직률 등이 지목됐다.
글로벌 제약사들의 R&D 비용은 매년 증가했다. 다만, 2013년~2020년 연평균 증가율 7.69%에서 2020년~2024년 연평균 6.44%로 소폭 감소세를 보였다. 한국바이오협회 관계자는 “대형 제약사가 R&D 지출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초점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고 말했다.
R&D 비용 증가와 더불어 기업들의 예상 투자 수익률도 상승했다. 제약 R&D의 경우 투자 수익률이 2023년 4.3%에서 2024년 5.9%로 1.6%포인트 증가했다.
주목할 점은 GLP-1을 제외하면 투자 수익률이 3.8%로 떨어진다는 점이다. 이는 GLP-1 치료제가 수익률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증거다. 실제 20개 제약사의 자산당 최대 예상 매출은 평균 5억1000만달러(한화 약 7474억5600만원)였으나, GLP-1을 제외할 경우 3억7000만달러(5422억7200만원)까지 떨어졌다.
보고서에서 딜로이트는 제약사들이 미충족 의료수요 영역을 목표로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미충족 의료수요가 높은 분야에 도전하는 것은 이미 출시된 약물에 대한 점진적 개선보다 더 큰 복잡성과 위험을 수반하고 개발·규제 승인에도 더 많은 시간을 소요해야 하지만, 재정적으로나 세계적 보건 증진 측면에서 기업이 얻을 수 있는 보상이 상당하다는 이유에서다. 딜로이트 관계자는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해 시장 포화도가 낮은 치료 분야의 전문성을 구축해야 한다”고 했다.
27일 한국바이오협회에 따르면, 글로벌 컨설팅기업 딜로이트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의 연례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에는 20개 글로벌 제약사들의 지난해 신약 개발 비용과 개발비 변화 추이, 증가 요인에 대한 분석 등이 담겼다.
조사 대상에 포함된 제약사들은 지난해 신약 1개를 개발하는 데 평균 22억3000만달러를 투자했다. 이는 전년(21억2000만달러) 대비 약 5.2% 늘어난 금액이다. 비용 증가에는 GLP-1 치료제가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20개 기업 중 12개 기업은 자산당 평균 지출 비용이 급증한 것으로 확인됐다. 그 배경으로는 ▲임상시험 기간 증가 ▲복잡해진 연구 영역 ▲거시 경제적 요인 ▲기술 발전 ▲높은 이직률 등이 지목됐다.
글로벌 제약사들의 R&D 비용은 매년 증가했다. 다만, 2013년~2020년 연평균 증가율 7.69%에서 2020년~2024년 연평균 6.44%로 소폭 감소세를 보였다. 한국바이오협회 관계자는 “대형 제약사가 R&D 지출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초점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고 말했다.
R&D 비용 증가와 더불어 기업들의 예상 투자 수익률도 상승했다. 제약 R&D의 경우 투자 수익률이 2023년 4.3%에서 2024년 5.9%로 1.6%포인트 증가했다.
주목할 점은 GLP-1을 제외하면 투자 수익률이 3.8%로 떨어진다는 점이다. 이는 GLP-1 치료제가 수익률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증거다. 실제 20개 제약사의 자산당 최대 예상 매출은 평균 5억1000만달러(한화 약 7474억5600만원)였으나, GLP-1을 제외할 경우 3억7000만달러(5422억7200만원)까지 떨어졌다.
보고서에서 딜로이트는 제약사들이 미충족 의료수요 영역을 목표로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미충족 의료수요가 높은 분야에 도전하는 것은 이미 출시된 약물에 대한 점진적 개선보다 더 큰 복잡성과 위험을 수반하고 개발·규제 승인에도 더 많은 시간을 소요해야 하지만, 재정적으로나 세계적 보건 증진 측면에서 기업이 얻을 수 있는 보상이 상당하다는 이유에서다. 딜로이트 관계자는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해 시장 포화도가 낮은 치료 분야의 전문성을 구축해야 한다”고 했다.
이 기사와 관련기사
의료계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