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컬투데이=김미경 기자] 젊은 층에서 외상성 뇌손상이 발생할 경우, 같은 나이의 일반인보다 약 1.9배 높은 뇌졸중 위험을 안고 있다는 대규모 분석 결과가 공개됐다.
서울대병원 재활의학과 이자호 교수와 최윤정 연구교수팀은 전국적으로 50세 미만 외상성 뇌손상 환자와 일반인 대조군 총 104만명의 데이터를 비교한 결과를 발표했다.
외상성 뇌손상은 교통사고나 낙상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손상을 말하며, 심각한 경우에는 두개골 골절이나 지속적 혼수를 포함한다. 이러한 손상이 청장년층에서 주요 사망 원인이자 뇌졸중 위험 요인 중 하나로 부각되고 있다.
이번 연구는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등록된 18-49세 인구를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외상성 뇌손상 환자군과 동일 연령 및 성별의 대조군을 비교해 약 7년 이상 추적 관찰했다. 연구팀은 이후 ▲뇌경색 ▲뇌출혈 ▲지주막하출혈로 구분하여 발생 위험을 분석했다.
결과에 따르면, 전체 뇌졸중 발생률은 환자군이 대조군보다 현저히 높았다(환자군: 3.82%, 대조군: 1.61%). 유형별로는 특히 뇌출혈 위험이 높아져 환자군에서 무려 2.63배나 됐다.
또한 외상성 뇌손상이 발생하고 나서도 시간이 지나면 위험이 감소할 것이라는 기대와 달리, 그 영향은 여전히 지속되었다. 특히 두개골 골절 등을 경험한 군에서는 더욱 높은 위험이 확인됐다.
연구팀은 스포츠 등 신체활동이 잦아 경미한 뇌진탕을 가볍게 넘기는 경향이 있는 청장년층에게 특별히 주의를 기울일 것을 권고했다. 이런 사람들 역시 약 2배 증가된 출혈 위험에 노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자호 교수는 "50세 미만 청장년층이라도 외상성 뇌손상을 경험했다면 정기 검진을 통해 혈당 및 콜레스테롤 등을 관리하고, 건강한 생활습관을 실천하는 등 일찍부터 뇌졸중 예방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며 "특히 젊은 외상성 뇌손상 환자는 자신의 뇌졸중 위험을 간과하는 경향이 있어, 이들을 대상으로 뇌졸중 예방에 대한 인식 제고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미국심장협회지'의 논평에 실리며 주목할 만한 연구로 소개됐다.
메디컬투데이
김미경
sallykim0113@md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