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토픽]

영국 20대 남성이 전신 마비를 겪고 있음에도 책을 출판해 화제를 모으고 있다.
지난 26일(현지시간) 영국 데일리메일 등 외신에 따르면 하워드 윅스(29)는 2011년부터 ‘락트-인 증후군’을 앓고 있다. 당시 하워드는 고등학생이었는데, 뇌경색을 겪은 후 락트-인 증후군이 발병했다. 하워드는 현재 생각하거나 보고, 느낄 수는 있다. 하지만 먹거나 말하거나 움직이는 등의 운동 기능은 전부 상실했다. 그가 현재 움직일 수 있는 것은 눈동자뿐이다. 하워드는 최근 자신의 눈동자 움직임을 인식하는 컴퓨터를 이용해 5만 자가 넘는 책을 출판했다. 그가 책을 완성하기까지는 18개월이 걸렸다. 하워드는 “(힘들어보일 수는 있어도) 카타르시스가 굉장했다”며 “내 이야기를 담은 책이니 독자들이 읽고, 이 병에 대해 많이 알게 되면 좋겠다”고 말했다.
락트-인 증후군(Locked in Syndrome)은 의식은 있지만 전신마비로 인해 외부자극에 반응하지 못하는 상태다. 외부와의 소통이 사실상 거의 불가능하고, 남의 도움 없이는 평생 방안에 갇혀 살 수밖에 없어 ‘감금 증후군’ 또는 ‘잠금 증후군’이라고도 불린다. 락트-인 증후군 환자는 자발적으로 움직이지 못하고 말도 못해 외관상 혼수상태로 오해하기 쉽다. 그런데, 혼수상태와 달리 락트-인 증후군 환자는 각성이 유지되고 운동기능만 차단된다. 감각 신경은 정상이기 때문에 신체 감각 및 청각 자극은 느낄 수 있다. 락트-인 증후군 환자들은 눈동자를 위아래로 움직이거나 깜빡일 수는 있지만, 대부분 옆으로 움직이지 못한다.
락트-인 증후군은 뇌 손상이 생겼을 때 발병할 수 있다. 뇌 손상은 사고 때문에 일어날 수 있고, 색전이나 혈전에 의해 기저 동맥이 막히거나 출혈이 생겨 발생할 수도 있다. 뇌의 한 부위인 교뇌에서 뇌경색이 발생하면 운동 신경이 손상돼 얼굴을 포함해 팔다리를 움직이지 못하고, 락트-인 증후군으로 이어질 위험이 있다.
락트-인 증후군을 치료할 때는 우선 기도를 확보하고 산소 공급이 제대로 되는지 확인하는 게 중요하다. 발병 원인을 파악하는 것도 필요하다. 혈관에 생긴 문제 때문에 증상이 나타났다면 증상 발현 후 48시간 이내에 신속히 대처해야 한다. 락트-인 증후군 환자들은 대부분 만성적으로 증상을 겪는다. 드물게 발병 후 한 달 이내에 재활 치료를 시작해 운동기능을 일부 회복하기도 한다. 이때 재활 치료는 물리치료, 발성 및 호흡치료로 진행된다. 락트-인 증후군은 대부분 뇌경색이나 뇌졸중 때문에 발생하는데, 두 가지 모두 예측하기 힘들다. 만약 관련 증상이 나타났다면 병원을 방문해 정밀 검사를 받고, 신속히 치료를 시작할 것을 권장한다.
지난 26일(현지시간) 영국 데일리메일 등 외신에 따르면 하워드 윅스(29)는 2011년부터 ‘락트-인 증후군’을 앓고 있다. 당시 하워드는 고등학생이었는데, 뇌경색을 겪은 후 락트-인 증후군이 발병했다. 하워드는 현재 생각하거나 보고, 느낄 수는 있다. 하지만 먹거나 말하거나 움직이는 등의 운동 기능은 전부 상실했다. 그가 현재 움직일 수 있는 것은 눈동자뿐이다. 하워드는 최근 자신의 눈동자 움직임을 인식하는 컴퓨터를 이용해 5만 자가 넘는 책을 출판했다. 그가 책을 완성하기까지는 18개월이 걸렸다. 하워드는 “(힘들어보일 수는 있어도) 카타르시스가 굉장했다”며 “내 이야기를 담은 책이니 독자들이 읽고, 이 병에 대해 많이 알게 되면 좋겠다”고 말했다.
락트-인 증후군(Locked in Syndrome)은 의식은 있지만 전신마비로 인해 외부자극에 반응하지 못하는 상태다. 외부와의 소통이 사실상 거의 불가능하고, 남의 도움 없이는 평생 방안에 갇혀 살 수밖에 없어 ‘감금 증후군’ 또는 ‘잠금 증후군’이라고도 불린다. 락트-인 증후군 환자는 자발적으로 움직이지 못하고 말도 못해 외관상 혼수상태로 오해하기 쉽다. 그런데, 혼수상태와 달리 락트-인 증후군 환자는 각성이 유지되고 운동기능만 차단된다. 감각 신경은 정상이기 때문에 신체 감각 및 청각 자극은 느낄 수 있다. 락트-인 증후군 환자들은 눈동자를 위아래로 움직이거나 깜빡일 수는 있지만, 대부분 옆으로 움직이지 못한다.
락트-인 증후군은 뇌 손상이 생겼을 때 발병할 수 있다. 뇌 손상은 사고 때문에 일어날 수 있고, 색전이나 혈전에 의해 기저 동맥이 막히거나 출혈이 생겨 발생할 수도 있다. 뇌의 한 부위인 교뇌에서 뇌경색이 발생하면 운동 신경이 손상돼 얼굴을 포함해 팔다리를 움직이지 못하고, 락트-인 증후군으로 이어질 위험이 있다.
락트-인 증후군을 치료할 때는 우선 기도를 확보하고 산소 공급이 제대로 되는지 확인하는 게 중요하다. 발병 원인을 파악하는 것도 필요하다. 혈관에 생긴 문제 때문에 증상이 나타났다면 증상 발현 후 48시간 이내에 신속히 대처해야 한다. 락트-인 증후군 환자들은 대부분 만성적으로 증상을 겪는다. 드물게 발병 후 한 달 이내에 재활 치료를 시작해 운동기능을 일부 회복하기도 한다. 이때 재활 치료는 물리치료, 발성 및 호흡치료로 진행된다. 락트-인 증후군은 대부분 뇌경색이나 뇌졸중 때문에 발생하는데, 두 가지 모두 예측하기 힘들다. 만약 관련 증상이 나타났다면 병원을 방문해 정밀 검사를 받고, 신속히 치료를 시작할 것을 권장한다.
�섎즺怨� �댁뒪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