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34세 '이 남자' 극단적 선택 위험 17.5배 높아

입력 2022.12.29 14:02
우울한 사람
경제활동을 하지 않고, 이혼한 25~34세 청년은 평균보다 극단적 선택을 할 위험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경제활동을 하지 않고, 이혼한 25~34세 남성은 경제활동 중이고 기혼한 사람보다 극단적 선택을 할 위험이 17.5배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고려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이요한 교수 연구팀은 경제활동인구의 사회경제적 요인과 극단적 선택 사이 연관성을 조사하기 위해 2008년부터 2017년까지 극단적 선택 사망자 전수 자료를 분석했다.

그 결과, ▲경제활동을 하지 않거나 ▲이혼했거나 ▲교육 수준이 낮은 경우, 극단적 선택 위험이 높게 나타났다. 전 연령층에서 관찰되었으나 25~34세 연령층에서 두드러졌고, 연령이 높을수록 위험은 점점 감소했다. 25~34세 여성 중 이혼을 경험한 경우, 자살위험이 기혼 청년층보다 7.9배 높게 나타났다.

교육 수준·경제활동·결혼상태 중 2가지 조합으로 보면 극단적 선택을 할 위험은 더욱 증가했다. 경제활동을 하지 않고 이혼했을 때 가장 증가 폭이 컸는데, 특히 연령대 25~34세 남성의 경우 경제활동 중이고 혼인하고 있는 사람보다 극단적 선택을 할 위험이 17.5배나 높았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는 우리나라의 자살사례가 사회경제적 요인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는 것과 사회적 환경에 가장 많이 노출되고 있는 경제활동 인구 내에서 연령별로 자살위험 크기가 다르다는 것을 시사했다"며 "개인이 처한 사회경제적 어려움은 심리적, 사회적 지지를 함께 제공해 대응해 나가야 한다"고 했다.

보건의료와 사회경제적 접근의 병행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실업과 이혼 같은 부정적 사건을 경험한 이들이 겪는 정신적 어려움은 더 크기 때문에 정신적 어려움을 상세하게 파악하고, 사회적 지원책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요한 교수는 "현재 고도화된 한국 사회에 진입하는 사회 초년기 청년들은 다양하고 여러 사회적 어려움을 직접 마주하게 되지만, 사회적 안전망은 다른 성인 연령층에 비해 부족하기 때문에 어려움의 무게는 더 클 것으로 보인다"라며 "특히 코로나 팬데믹으로 청년 실업률과 이혼율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청년들의 어려움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이들이 정신적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도록, 사회적 지원을 제공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사회 의학 분야 SCI 저널 'SSM-Population Health' 최근 호에 게재됐다.
�섎즺怨� �댁뒪 �ъ뒪耳��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