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전근개 파열 환자 중 견갑운동에 이상이 있으면 재파열 확률이 높고, 파열 형태에 따라 회복 결과도 다르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건국대병원 정형외과 정석원 교수팀이 어깨를 움직일 때 날개뼈가 틀어지는 견갑운동 이상이 있는 어깨 회전근개 파열 환자에서 수술 후 호전과 관련된 인자에 대해 밝혔다.
정석원 교수팀은 회전근개 봉합술을 시행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전과 수술 후 1년 째에 어깨 3차원 CT영상 재건을 통해 견갑운동 이상이 있는지 여부와 변화 양상, 관련인자를 분석했다.
수술 전 회전근개 파열 환자의 65.7%에서 견갑운동 이상이 확인됐으며, 이 중 수술 후 52.1%는 회복됐다. 회복된 환자를 분석한 결과, 날개뼈 아래쪽이 들리는 형태(type1)의 환자가 대부분이었고, 날개뼈가 벌어지거나 위쪽이 들리는(type2,3)환자 군은 잘 회복되지 않은 것을 확인했다. 또 수술 후 견갑운동 이상 회복 정도는 재파열 유무와 관절운동범위와 관련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석원 교수는 “수술 후 견갑운동 이상이 회복되지 않은 환자의 경우 재파열 확률이 높았고, 관절운동범위 및 기능결과도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번 연구는 회전근 개 봉합술 후 견갑운동 이상의 변화 양상과 관련인자를 분석한 최초의 논문”이라고 밝혔다. 이어 정석원 교수는 “이번 연구는 견갑운동 이상이 수술 후에도 지속된다면 재파열 가능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고, 특히 견갑운동 이상의 회복이 기능적인 수술 결과와도 직결되기 때문에 type2,3 환자는 형태에 맞는 능형근과 하부승모근 재활에 좀 더 집중해야 함을 시사한다”며 “회전근개 수술 후 재활방법에 대한 학문적 근거를 제시했다는 의의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 결과는 ‘Knee Surg Sports Traumatol Arthrosc’ 12월호에 게재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