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성은 매달 5~7일간 생리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생리 주기가 불규칙하거나, 생리 양이 달라지는 등 생리불순이 나타난다면 질환이 원인일 수 있다.
◇다낭성 난소 증후군
다낭성난소증후군이 생기면 무월경, 생리불순이 나타날 수 있다. 다낭성난소증후군은 ▲과거 월경 주기의 3배 이상 혹은 6개월 이상 월경이 없는 상태 ▲임상적 남성호르몬 과다 증상 또는 생화학적 고안드로겐혈증 ▲난소에 10여 개의 작은 난포가 염주 모양으로 생긴 상태 중 두 가지 이상을 만족하면 진단된다. 다낭성난소증후군을 방치하면 자궁내막증식증, 난임, 불임으로 이어질 수 있고 비만 등 대사증후군에 걸릴 위험이 커진다. 따라서 생리불순과 함께 다모증(털이 굵고 진해지며 양이 늘어나는 증상), 여드름, 체중증가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산부인과에 방문해야 한다.
◇갑상선 질환
갑상선기능저하증이나 갑상선기능항진증 등 갑상선 질환이 생리불순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갑상선은 기도 앞에 있는 나비 모양의 기관으로 호르몬을 만들고 분비한다. 갑상선의 호르몬 분비 균형에 문제가 생기면, 생리와 관련된 성호르몬이 영향을 받아 생리불순이 일어날 수 있다. 생리불순과 함께 극심한 체온 또는 체중 변화, 우울감, 피곤함이 동반됐다면 갑상선 기능 이상을 의심해야 한다.
◇고프로락틴혈증
프로락틴(유즙 분비 호르몬)이 과도하게 분비되는 고프로락틴혈증이 생기면 생리 주기가 불규칙해질 수 있다. 프로락틴은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며, 주로 임신했거나 출산한 산모에게 많이 분비된다. 간혹 약물 복용, 뇌하수체 종양, 시상하부 관련 질환 등의 이유로 임신·출산을 하지 않은 여성에게도 프로락틴 수치가 높게 나오기도 한다. 이 경우 유루증·무배란성 불임·생리 중단·가슴 통증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