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질환자, 한파 노출 취약자

올 겨울도 강추위가 이어질 예정이다. 질병관리본부는 서울, 강원, 경기 등 전국적 한파로 겨울철 한랭질환에 주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기상청 역시 기온이 큰 폭으로 떨어지는 날이 있어 갑작스런 추위가 예상된다고 밝혔다. 한랭질환은 저체온증, 동상 등 추위가 인체에 피해를 입히는 질환이다. 초겨울은 신체가 추위에 덜 적응돼, 한랭질환 위험이 크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최근 질병관리본부가 2013년부터 전국 약 500개 병원의 응급실로부터 한랭질환자를 신고받아 집계한 결과, 한랭질환자는 50대가 가장 많고, 고령일수록 저체온증과 같은 중증한랭질환이 많았으며, 한랭질환자의 30%는 음주상태였다. 또한 10명 중 7명은 길가나 집주변과 같은 실외에서 한랭질환이 발생했다. 시간을 따지면 하루 중 언제라도 신체가 추위에 노출되는 때 발생하나, 기온이 급감하는 밤부터 아침 사이에 한랭질환 사망자가 많았다. 한랭질환은 심각한 인명피해로 이어질 수 있지만,'한파대비 건강수칙'만 잘 지켜도 예방할 수 있다.
한파대비 건강수칙은 ▲실외에서 장갑, 목도리, 모자, 마스크 착용 ▲실외에서 무리한 운동 삼가 ▲외출 전 체감온도 확인 ▲실내에서 가벼운 운동하기 ▲평소 적절한 수분 섭취와 고른 영양소를 고려해 식사 ▲실내 적정온도인 18~20도 유지 등이다. 또한 고령자와 어린이는 일반 성인에 비해 체온 유지에 취약하므로 한파 시 실외활동을 자제하고 보온에 신경써야 한다. 만성질환(심뇌혈관질환, 당뇨, 고혈압 등)이 있으면 한파에 노출되면 혈압이 급격히 상승하는 등 증상이 악화돼 위험할 수 있다. 추위에 갑자기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고 무리한 신체활동을 피해야 좋다. 술을 마시면 신체는 열이 올랐다가 체온이 급격히 떨어지지만, 추위를 인지하지 못하여 위험해지기 쉽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