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 산행 '저체온증' 경계를… 날 풀릴 때 더 위험

입력 2020.01.21 09:09

당뇨병·고혈압 환자, 산행 금물
낙엽·젖은 길에선 낙상 주의를

최근 히말라야 안나푸르나 눈사태로 한국인 교사가 실종되면서, 겨울 산행에 대한 경각심이 커지고 있다. 영하의 날씨 속 무리한 산행은 저체온증 등을 유발할 수 있어 건강한 사람도 조심해야 한다. 당뇨병·고혈압이 있다면 겨울 산행은 피하는 게 좋다.

한양대병원 응급의학과 강형구 교수는 "몸의 체온 조절은 혈관 수축·이완과 혈액순환으로 이뤄지는데, 당뇨병이나 고혈압이 있으면 건강한 사람보다 혈관이 약해진 상태라 체온 조절이 잘 안된다"며 "저체온증이나 손·발·귀 동상에 취약하므로, 겨울 산행은 되도록 피하길 권한다"고 말했다.

겨울 산행 '저체온증' 경계를… 날 풀릴 때 더 위험
/신지호 헬스조선 기자
건강한 사람의 체온은 약 36.5도지만, 약한 저체온증이 생기면 34도까지 떨어진다. 체온이 떨어지면 몸이 덜덜 떨리고 치아가 부딪히는 증상이 나타난다. 여기서 체온이 30도까지 떨어지면 의식을 잃을 수 있어 위험하다. 강형구 교수는 "약한 저체온증이 나타나면 곧바로 하산하고, 의식이 흐려질 정도의 비상상황이라면 재빨리 바람을 피할 수 있는 장소를 찾은 뒤 지인이나 119 구급대에 전화해 본인의 장소를 알려야 한다"고 말했다.

건강한 상태라도 겨울 산행을 준비하고 있다면 비상시를 대비해 ▲응급 담요(체온 유지가 가능한 은박으로 된 비상용 담요) ▲칼·나침반·전등·사탕 등이 포함된 키트 등을 챙기는 게 좋다. 옷은 두꺼운 것을 한 벌 입기보다, 얇은 옷을 여러 벌 입거나 준비해 땀이 나면 갈아입는 게 체온 유지에 유리하다.

강형구 교수는 "심하게 춥다고 알려진 날씨에는 사람들이 대비를 잘 해 오히려 산행 사고가 적은 편"이라며 "날씨가 살짝 풀렸을 때 더 주의해야 하며, 얼어있는 길을 밟고 미끄러지기도 해 응달진 곳이나 낙엽이 쌓인 곳은 피해서 다녀야 한다"고 말했다. 등산 전 준비운동을 하면 낙상 예방에 도움이 된다. 등산화와 등산스틱을 챙기는 건 기본이다.


의료계 뉴스 헬스케어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