컵라면 vs 봉지라면, 나트륨 더 많은 제품은?

입력 2018.10.17 11:29
라면
라면·탄산음료 등 주요 식품의 나트륨·당 함량이 공개됐다./사진=헬스조선DB

식품의약품안전처가 177개 주요 식품의 나트륨·당 함량을 조사, 발표했다. 라면 20개, 국수 20개, 과일·채소음료 20개, 탄산음료 20개, 커피 20개, 발효유류 20개, 팝콘 54개, 콜라 3개 등이다.

조사 결과, 면류 가운데 나트륨의 평균 함량은 우동이 1724mg으로 가장 많았고, 라면 1586mg, 칼국수 1573mg 등의 순이었다. 라면은 국물이 있는 제품(평균 1693mg)이 짜장라면이나 비빔면처럼 국물 없는 제품(1640mg)에 비해 나트륨 함량이 많았다. 또한, 봉지면(1640mg)이 컵라면(1505mg)보다 나트륨 함량이 많았다.

표
라면(유탕면)의 제품별 나트륨 함량 표시/자료=식품의약품안전처

나트륨의 1일 기준치는 2000mg으로, 조사 대상 라면 20개 제품 중 11개가 기준치를 초과했다. 국수의 경우 우동 7개, 칼국수 3개 제품이 기준치보다 높았다.

영화관 팝콘의 경우 전국 6개 지역(서울·인천·대전·광주·대구·부산) 영화관에서 일반, 시즈닝, 달콤한 맛 등을 수거해 나트륨량을 분석했다. 그 결과, 시즈닝이 948.6mg로 가장 많았고, 일반 504mg, 달콤 174.2mg 등의 순이었다. 어니언이나 버터갈릭 양념이 들어간 팝콘의 경우 달콤한 맛의 팝콘보다 나트륨이 6배 이상 많았다.

조사된 음료류의 경우 당류 평균 함량은 탄산음료 10.9g, 과‧채음료 9.7g, 발효유류 9.7g, 커피 7.3g 등이었다.

탄산음료는 6.8~14.2g으로 제품별로은 2배 이상 차이가 있었고, 커피류는 아메리카노(3개) 0~4.4g, 라떼(17개) 6.5~9.6g으로 확인됐다.

표
탄산음료 제품별 당 함량 표시/자료=식품의약품안전처
표
과채음료 제품별 당 함량 표시/자료=식품의약품안전처
표
커피 제품별 당 함량 표시/자료=식품의약품안전처
영화관 달콤 팝콘(대)의 경우 당류 평균 함량이 56.7g이고 함께 제공되는 콜라(대)는 74.4~88.5g으로 조사됐다. 두 명이 영화관에서 달콤 팝콘(대)와 콜라(대) 세트를 선택할 경우, 1인 기준 당류 함량이 66.8~74.6g으로 1일 영양성분 기준치(100g)의 약 70% 수준을 섭취하게 되는 셈이다.

표
영화관 팝콘의 당류·나트륨 분석 결과/자료=식품의약품안전처
식약처 관계자는 “일상에서 당과 나트륨 섭취를 줄이려면 식품을 구매할 때는 반드시 영양표시 사항을 확인하고 당 또는 나트륨 함량이 적은 제품을 선택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라면 등 스프가 포함한 제품의 경우 우선, 스프를 반만 넣고 조리 후 조금씩 첨가하여 간을 맞추는 것이 좋다”며 “소스나 양념이 포함된 제품은 미리 뿌리지 말고 별도로 덜어서 찍어 먹고, 이미 뿌려진 양념은 먹기 전 살짝 털어 추가의 양념 섭취를 줄여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국물이 포함된 제품은 건더기 위주로 섭취하되, 국물은 가능한 적게 먹는 게 좋다”며 “목이 마를 때는 물을 마시고, 음료류를 선택할 때는 적은 용량의 제품을 우선 선택하면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섎즺怨� �댁뒪 �ъ뒪耳��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