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로움 느끼는 청년, 실직 많고 건강도 안 좋다

영국 킹스칼리지런던 연구

상자속에 들어가 외로워하는 젊은이
젊은 나이에 외로움은 정신적, 신체적 건강에 문제를 발생시킬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가 발표됐다./사진=헬스조선DB

외로움을 느끼는 청년은 삶의 질이 전반적으로 떨어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킹스 칼리지 런던 연구팀은 영국에서 1994~1995년에 출생한 2232명이 18세가 됐을 때 느끼는 외로움 정도와 사회적 조건들을 조사해 분석했다. 연구팀은 대상자에게 '동반자가 없다고 느끼는 경우가 얼마나 됩니까', '혼자 남겨졌다고 느끼는 경우는 얼마나 됩니까' 등과 같은 질문을 했고, 정신적·신체적 건강상태, 생활습관, 교육 정도, 취업상태에 관해 물었다. 그 결과, 참가자 4분의 1이 종종 외로움을 느낀다고 말했으며, 거의 7%에 달하는 사람들이 자주 외로움을 느낀다고 밝혔다.

외로움을 느끼는 젊은이들은 정신적·신체적 건강 문제를 경험하고 스트레스에 대처함에 있어 올바르지 못한 방법을 선택할 확률이 더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외로움을 느낀다면 불안과 우울과 같은 정신 건강 문제가 있을 확률이 외로움을 느끼지 않는 사람에 비해 2배 가까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해를 시도한 횟수와 지난 1년 동안 정신 건강을 문제로 상담 받은 수도 훨씬 많았다.

외로움을 느끼는 성인들을 분석한 결과, 가장 외롭다고 조사된 상위 10%의 5명 중 1명이 외롭지 않은 젊은 사람들 10%에 비해 교육을 받지 못했거나 취업, 훈련 과정에서 뒤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실직한 경우가 많았으며 미래에 대한 전망에 대해서도 자신감이 없는 태도를 보였다. 또한 활동적이지 못하고 흡연하는 사람들이 많았으며 기술을 강박적으로 사용하려는 성향을 보였다. 연구팀은 이에 덧붙여 외로움을 느끼는 것이 성별과 사회·경제적 배경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남자와 여자, 부자와 가난한 사람 상관없이 모두에게 발생했다.

연구팀은 “노년에 외로움이 증폭된다고 생각하지만, 생각보다 젊은 사람에게도 외로움이 많이 나타난다”며 “외로움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서로를 알아가는 다양한 모임을 활용하고 부정적인 생각의 고리를 끊어버리기 위한 상담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정신의학(Psychological Medicine)’에 게재됐다.


의료계 뉴스 헬스케어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