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한국 남성을 구하라! 5060대장암 주의보

최근 몇 년 사이 한국 남성의 대장 건강이 최악의 상황에 봉착했다.결코 과장된 이야기가 아니다. 세계보건기구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 발표에 따르면 우리나라 남성 대장암 발병률은 10만 명당 46.9명으로 아시아 국가 중 1위다.

세계 184개국 중에서는 4위(여성 19위)에 해당한다. 또 최근 10년 사이 대장암은 74% 증가해 위암에 이어 국내 남성 암 발병률 2위를 차지했다. 우리나라 중년 남성의 대장은 왜 위기에 빠지게 됐을까? 대장 건강을 살리는 최고의 방법은 무엇일까? 대장암에 대한 모든 것을 알아본다.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라는 책에 ‘사랑하면 알게 되고, 알면 보이나니, 그때 보이는 건 전과 같지 않으리라’는 문장이 나온다. 대장암도 마찬가지다. 일단 대장을 알고 사랑해야 그 다음을 꾀할 수 있다. 대장이 하는 일과 대장암에 대해 알아본다.

part 01 대장이 하는 일
어떤 이는 우스갯소리로 ‘대장은 우리 몸의 화장실’이라고 말한다. 맞는 말이지만 또 틀린 말이다. 화장실이라고 하기에는 우리 몸에서 책임지는 대장의 역할이 너무 크고, 화장실이 아니라고 말하자니 꼭 그렇지도 않기 때문이다.

음식물의 마지막 관문, 대장
우리가 섭취한 음식물은 입과 식도, 위, 소장을 차례로 지나면서 소화 및 영양분 흡수 과정을 거친다. 흡수되고 남은 음식물은 가장 마지막에 대장에 머물게 된다. 하루 사이에 소장에서 대장으로 소화되는 음식물은 1.5L 정도로, 음식물이 머무는 동안 대장은 남은 영양소와 수분을 흡수한다. 이 찌꺼기에서 대장이 하루에 흡수하는 수분은 약 1L가 넘는다. 대장은 수분 흡수를 담당하는 것 외에도 장내 세균을 통해 음식물 찌꺼기를 발효시키고 대변을 몸 밖으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대장 = 맹장 + 결장 + 직장
‘∩’ 자 모양으로 생긴 대장은 복부 오른쪽 밑에 위치한 소장 끝부분에서 시작된다. 대장 길이는 사람에 따라 다르지만 대략 1.5m다. 대장은 크게 결장과 직장으로 구분된다. 결장 중에서 복부 오른쪽에 위치한 부분은 상행결장, 상복부를 가로지르는 결장은 횡행결장, 복부 왼쪽 부분은 하행결장이라고 부른다. 하행결장 끝에 곡선으로 휘어진 부분은 에스(S)결장이다. 마지막으로 골반 내에 위치한 결장의 끝이 직장이다.

4개 벽으로 만들어진 대장
대장 내부 대장벽은 가장 안쪽인 점막, 그 다음층인 점막하층과 근육층, 장막 등 총 4개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소장 점막이 영양소와 수분을 효율적으로 흡수하기 위해 작은 돌기가 많은 것과 달리, 대장 점막은 비교적 매끈하다. 대장 점막에는 감각신경이 없어서 통증을 느끼지 못하지만, 장막층에는 감각신경이 있어서 대장이 과도하게 늘어나거나 갑자기 수축되면 통증을 일으킬 수 있다.

대장 안에 세균이 바글거린다?
대장에는 700종 이상 세균이 살고 있다. 이 미생물이 대변 무게 3분의 1을 차지한다. 대장에 상주하는 정상 세균은 외부에서 침입해 각종 질환을 일으키는 유해 세균이 대장에서 살 수 없도록 방어한다. 정상 세균은 세균 활동을 통해 다양한 산물을 만들어 내는데, 소장에서 소화되지 못한 탄수화물이나 단백질을 지방산으로 변화시켜 대장에서 흡수하도록 한다. 또한 대장에서는 세균 활동을 통해 비타민B와 비타민K가 생산되고 흡수된다. 이외에도 대장 내 세균은 가스를 만든다. 가스는 소화되지 않은 다당류를 박테리아가 발효시킬 때 주로 발생한다.

Plus Info 인체 소화 과정을 이해하자!
Step 1 위 -
음식물이 저장되면 위는 연동운동을 통해 저장된 음식물을 부순다. 위산 및 소화 효소가 분비되어 화학적으로 분해하기도 한다. 음식물이 위에 머무는 시간은 4~5시간으로 비교적 짧다.
Step 2 소장 - 위에서 받아들인 음식물에서 영양소를 흡수한다.연동운동과 하루 1.5~3L가 분비되는 장액을 통해 인체에서 일어나는 흡수의 90%를 처리한다. 처리되지 못한 음식물은 4~8시간 머물다가 대장으로 이동한다.
Step 3 대장 - 소장이 미처 흡수하지 못한 영양소와 물을 흡수한다. 찌꺼기를 8~24시간만에 대변으로 내보낸다. 하루에 소장에서 들어오는 물질 양은 약 1.5L다. 이 중에서 물이 약 4분의 3을 차지한다.
Step 4 항문 - 직장 맨 끝부분과 연결되어 있다. 지름 3~5cm이며, 주변으로 주름 100여 개가 잡혀 있는 항문은 직장에 대변이 꽉 차면 괄약근이 이완되어 열린다.

1 · 2 · 3
의료계 뉴스 헬스케어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