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 03 대장암 단계별 특징과 증상
대장암이 진행되었다면 배가 아프거나 설사 또는 변비가 생기는 등 배변습관에 변화가 나타난다.또 항문에서 피가 나오는 직장 출혈 증세가 나타나기도 한다.
대장암 = 결장암 + 직장암
대장암은 대장에 생긴 악성종양을 말한다. 대장은 크게 결장과 직장으로 구분되고 결장은 다시 맹장, 상행결장, 횡행결장, 하행결장 그리고 에스결장으로 나뉜다. 암이 발생하는 위치에 따라 결장에 생기면 결장암, 직장에 생기면 직장암이라고 부르며 이를 통칭해 대장암 혹은 결장직장암이라고 한다. 각 부위별로 암 발생률을 살펴보면 맹장과 상행결장 25%, 에스결장 25%, 직장 20%, 횡행결장 15%, 직장에스결장 접합부 10%,하행결장 5% 정도로 분포되어 있다.
좌측대장암 증상
횡행결장과 하행결장으로 갈수록 변이 농축된다. 대장 지름이 좁아지기 때문에 변비와 통증이 생기는 경우가 많다. 변에 피가 섞여 나오는 혈변이 우측대장암보다 흔하며, 장 폐쇄 증상도 자주 발생한다.
우측대장암 증상
장이 굵고 대변에 수분이 많은 상태라 증상이 거의 없다. 증상이 있으면 변비보다는 설사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우측 대장에 암이 생기면 체중 감소와 빈혈 등의 증상으로 피곤하고 몸이 약해졌다는 느낌을 받는다.
직장암 증상
암이 자라면서 끈적끈적한 혈변과 변이 가늘어지는 증상이 흔하게 나타난다. 식욕부진과 체중감소를 동반할 수 있다. 배변습관 변화로 변을 참기 힘들거나, 변을 본 후에 다시 변의가 밀려 오면서 통증이 발생하기도 한다. 증상만으로는 치질 등 다른 질환과 구별하기 어려우니 전문의와 상담하고 정밀검사를 받는다.
대장암의 단계별 특징
0기 - 대장 가장 안쪽 조직인 점막층에 대장암이국한된 경우다. 대장 점막에는 혈관이나 림프관 등 다른 부위로 암이 퍼져나갈 수 있는 관상 구조물이 없기 때문에 이 단계에서 암을 발견해 제거하면 완치율이 거의 100%다.
1기 - 점막조직에서 발생한 대장암이 점막하층과 근육층까지만 침범한 경우로, 아직 암이 대장에 국한된 상태다. 이 단계에서 암을 발견해 제거하면 완치율은 90% 이상이다.
2기 - 암이 대장벽의 근육층 밖으로 뚫고 나오거나 주위 조직까지 침범했으나 아직 림프절 전이가 없는 상태를 2기로 정의한다. 콩알만 한 크기의 림프절은 우리 몸의 면역 기능을 담당하는 방어 초소다. 통상 대장암 2기 완치율은 70~80%다.
3기 - 대장의 림프절은 대장의 주요 혈관을 따라 분포하는데, 이곳에서 암세포가 발견되면 대장암 3기로 분류된다. 3기 완치율은 50~60%로 보고돼 있다.
4기 - 이 단계는 대장암이 폐나 간 등 다른 장기로 퍼져 나간 상태다. 통상 5% 이하 완치율을 보인다.
대장암이 진행되었다면 배가 아프거나 설사 또는 변비가 생기는 등 배변습관에 변화가 나타난다.또 항문에서 피가 나오는 직장 출혈 증세가 나타나기도 한다.
대장암 = 결장암 + 직장암
대장암은 대장에 생긴 악성종양을 말한다. 대장은 크게 결장과 직장으로 구분되고 결장은 다시 맹장, 상행결장, 횡행결장, 하행결장 그리고 에스결장으로 나뉜다. 암이 발생하는 위치에 따라 결장에 생기면 결장암, 직장에 생기면 직장암이라고 부르며 이를 통칭해 대장암 혹은 결장직장암이라고 한다. 각 부위별로 암 발생률을 살펴보면 맹장과 상행결장 25%, 에스결장 25%, 직장 20%, 횡행결장 15%, 직장에스결장 접합부 10%,하행결장 5% 정도로 분포되어 있다.
좌측대장암 증상
횡행결장과 하행결장으로 갈수록 변이 농축된다. 대장 지름이 좁아지기 때문에 변비와 통증이 생기는 경우가 많다. 변에 피가 섞여 나오는 혈변이 우측대장암보다 흔하며, 장 폐쇄 증상도 자주 발생한다.
우측대장암 증상
장이 굵고 대변에 수분이 많은 상태라 증상이 거의 없다. 증상이 있으면 변비보다는 설사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우측 대장에 암이 생기면 체중 감소와 빈혈 등의 증상으로 피곤하고 몸이 약해졌다는 느낌을 받는다.
직장암 증상
암이 자라면서 끈적끈적한 혈변과 변이 가늘어지는 증상이 흔하게 나타난다. 식욕부진과 체중감소를 동반할 수 있다. 배변습관 변화로 변을 참기 힘들거나, 변을 본 후에 다시 변의가 밀려 오면서 통증이 발생하기도 한다. 증상만으로는 치질 등 다른 질환과 구별하기 어려우니 전문의와 상담하고 정밀검사를 받는다.
대장암의 단계별 특징
0기 - 대장 가장 안쪽 조직인 점막층에 대장암이국한된 경우다. 대장 점막에는 혈관이나 림프관 등 다른 부위로 암이 퍼져나갈 수 있는 관상 구조물이 없기 때문에 이 단계에서 암을 발견해 제거하면 완치율이 거의 100%다.
1기 - 점막조직에서 발생한 대장암이 점막하층과 근육층까지만 침범한 경우로, 아직 암이 대장에 국한된 상태다. 이 단계에서 암을 발견해 제거하면 완치율은 90% 이상이다.
2기 - 암이 대장벽의 근육층 밖으로 뚫고 나오거나 주위 조직까지 침범했으나 아직 림프절 전이가 없는 상태를 2기로 정의한다. 콩알만 한 크기의 림프절은 우리 몸의 면역 기능을 담당하는 방어 초소다. 통상 대장암 2기 완치율은 70~80%다.
3기 - 대장의 림프절은 대장의 주요 혈관을 따라 분포하는데, 이곳에서 암세포가 발견되면 대장암 3기로 분류된다. 3기 완치율은 50~60%로 보고돼 있다.
4기 - 이 단계는 대장암이 폐나 간 등 다른 장기로 퍼져 나간 상태다. 통상 5% 이하 완치율을 보인다.
의료계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