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토픽]

홍콩의 한 배우가 네 살인 딸의 교육을 위해 차에 이동식 화장실을 설치했다고 밝혀 화제가 되고 있다.
지난 6일(현지시각)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홍콩의 배우 겸 인플루언서인 리 티안종(37)은 자신의 SNS에 딸과의 일상을 공유했다. 그는 “4살 딸인 앰버의 교육을 위해 7인승 차량을 구매했고, 집과 유치원 사이를 하루에 여섯 차례 왕복 이동하고 있다”며 “딸이 차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아 차 안에 이동식 화장실까지 설치했다”고 했다. 앰버는 아침 7시 30분에 하루를 시작한다. 매일 영어 유치원과 광둥어 유치원 두 곳을 다닌다. 일정을 소화하기 위해 차에서 식사하고 낮잠을 자며 다음 유치원으로 이동한다. 또한 앰버는 여가 시간에 할머니에게 비파와 피아노를 배우고, 엄마와 춤 연습 등을 한다. 리 티안종은 “딸이 두 개의 유치원을 다니는 것을 즐기고 있다”며 “모든 부모는 각자의 교육 방식이 있다”고 했다. 이어 “동의하지 않더라도 존중해 주셨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게시물을 본 누리꾼들은 “겨우 네 살밖에 되지 않았는데, 일정이 너무 빡빡하다” “아이에게 이렇게까지 해야 하냐” “아이가 스트레스받을 것 같다” 등의 댓글을 남겼다.
지나친 사교육은 아동의 학업 성취나 정서 발달에는 유의미한 효과가 없고 되레 악영향을 줄 수 있다. 특히 앰버처럼 7세 이전의 영유아 시절에는 정서적인 경험이 충분히 이뤄지지 않은 상태다. 이때 인지적인 암기 위주의 학습만 하면 뇌에 ‘인지적 과부하’가 온다. 또한 영유아 시기는 다양한 오감 활동을 통해 신체, 인지, 사회정서 등의 영역이 골고루 발달돼야 하는 중요한 시기다. 하지만 학습에 치중된 교육을 받으면 그때만 기를 수 있는 인성과 가치관 정립이 제대로 안 이뤄질 수 있다. 이런 아이들은 쉽게 짜증을 내고 불안감이나 자신감 저하로 이어질 위험이 크다.
지나친 사교육은 소아 우울증으로도 이어질 수 있다. 어린 나이부터 시작되는 학업 부담이 아이 뇌 발달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난도가 높은 문제와 부모의 압박은 자신 능력에 대한 한계를 느끼게 할 수 있다. 이렇게 반복되는 좌절감은 우울감이나 불안에 빠지게 한다. 어릴 적 우울증은 만성적이며, 성인이 된 후에도 재발할 위험이 높다. 하루 네 시간 이하의 사교육을 받은 초등생은 약 10%가, 앰버처럼 하루 네 시간이 넘는 사교육을 받은 아이들은 30%가 우울 증상을 보였다는 한림대성심병원 연구 결과가 있다.
영유아 시기에는 지나친 사교육보다 주도적이고 자유롭게 놀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부모가 아이의 성향, 상황 등을 잘 인식해야 하는 것이 중요하다. 아이의 감정을 이해하고 그에 알맞은 수준의 교육을 해야 학업도 자연스럽게 성공적으로 따라갈 수 있다. 영유아의 스트레스 반응을 보다 더 세심하게 관찰하고 편안한 상황을 만들어주려는 부모의 노력이 중요하다.
지난 6일(현지시각)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홍콩의 배우 겸 인플루언서인 리 티안종(37)은 자신의 SNS에 딸과의 일상을 공유했다. 그는 “4살 딸인 앰버의 교육을 위해 7인승 차량을 구매했고, 집과 유치원 사이를 하루에 여섯 차례 왕복 이동하고 있다”며 “딸이 차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아 차 안에 이동식 화장실까지 설치했다”고 했다. 앰버는 아침 7시 30분에 하루를 시작한다. 매일 영어 유치원과 광둥어 유치원 두 곳을 다닌다. 일정을 소화하기 위해 차에서 식사하고 낮잠을 자며 다음 유치원으로 이동한다. 또한 앰버는 여가 시간에 할머니에게 비파와 피아노를 배우고, 엄마와 춤 연습 등을 한다. 리 티안종은 “딸이 두 개의 유치원을 다니는 것을 즐기고 있다”며 “모든 부모는 각자의 교육 방식이 있다”고 했다. 이어 “동의하지 않더라도 존중해 주셨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게시물을 본 누리꾼들은 “겨우 네 살밖에 되지 않았는데, 일정이 너무 빡빡하다” “아이에게 이렇게까지 해야 하냐” “아이가 스트레스받을 것 같다” 등의 댓글을 남겼다.
지나친 사교육은 아동의 학업 성취나 정서 발달에는 유의미한 효과가 없고 되레 악영향을 줄 수 있다. 특히 앰버처럼 7세 이전의 영유아 시절에는 정서적인 경험이 충분히 이뤄지지 않은 상태다. 이때 인지적인 암기 위주의 학습만 하면 뇌에 ‘인지적 과부하’가 온다. 또한 영유아 시기는 다양한 오감 활동을 통해 신체, 인지, 사회정서 등의 영역이 골고루 발달돼야 하는 중요한 시기다. 하지만 학습에 치중된 교육을 받으면 그때만 기를 수 있는 인성과 가치관 정립이 제대로 안 이뤄질 수 있다. 이런 아이들은 쉽게 짜증을 내고 불안감이나 자신감 저하로 이어질 위험이 크다.
지나친 사교육은 소아 우울증으로도 이어질 수 있다. 어린 나이부터 시작되는 학업 부담이 아이 뇌 발달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난도가 높은 문제와 부모의 압박은 자신 능력에 대한 한계를 느끼게 할 수 있다. 이렇게 반복되는 좌절감은 우울감이나 불안에 빠지게 한다. 어릴 적 우울증은 만성적이며, 성인이 된 후에도 재발할 위험이 높다. 하루 네 시간 이하의 사교육을 받은 초등생은 약 10%가, 앰버처럼 하루 네 시간이 넘는 사교육을 받은 아이들은 30%가 우울 증상을 보였다는 한림대성심병원 연구 결과가 있다.
영유아 시기에는 지나친 사교육보다 주도적이고 자유롭게 놀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부모가 아이의 성향, 상황 등을 잘 인식해야 하는 것이 중요하다. 아이의 감정을 이해하고 그에 알맞은 수준의 교육을 해야 학업도 자연스럽게 성공적으로 따라갈 수 있다. 영유아의 스트레스 반응을 보다 더 세심하게 관찰하고 편안한 상황을 만들어주려는 부모의 노력이 중요하다.
이 기사와 관련기사
의료계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