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의료 공백, 보건소‧보건지소 비대면진료로 메운다

입력 2024.04.03 14:10
박민수 차관
오늘(3일)부터 보건소와 보건지소의 비대면진료를 한시적으로 허용한다/뉴시스
정부가 전공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공중보건의사·군의관을 차출하면서 지역 의료에 문제가 생기자 비대면진료 카드를 꺼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3일 브리핑에서 오늘부터 보건소와 보건지소에서도 비대면진료를 한시적으로 허용한다고 밝혔다. 그간 보건복지부는 비상진료대책 일환으로 보건소와 보건지소를 제외한 모든 종별 의료기관에 비대면진료를 전면 허용한 상태였다.

복지부의 이번 조치는 공중보건의사·군의관 파견 장기화에 따른 것이다. 사실상 지역의 유일한 의사였던 공보의 등이 자리를 비우자 지역민 의료 이용에 심한 차질이 생겼고, 전라남도 등 일부 지자체에선 대안으로 비대면 진료 허용을 요청했다. 이에 따라 보건소 246개소와 보건지소 1341개소의 비대면진료가 한시적으로 허용된다.

비대면진료 지침에 따라. 오늘부터 경증질환자는 지역 보건소나 보건지소의 비대면진료를 통해 상담과 진단·처방 등을 받을 수 있다. 처방전의 약국 전송 등 현행 비대면진료 절차를 동일하게 적용한다.

박민수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총괄조정관(보건복지부 제2차관)은 "이를 통해 건강관리와 예방 등의 목적으로 지역 보건소를 이용하던 국민은 더 편리하게 의료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게 된다"며 "보건소와 보건지소 의사도 섬·벽지 등 근무지와 먼 지역을 직접 방문하지 않고 경증질환자나 동일한 약을 처방받는 만성질환자를 관리할 수 있다"고 밝혔다.

한편, 정부는 의대 정원 확대 계획 시행을 위해 국립대 의대 전임교수 확대 방안 논의를 시작했다. 정부는 지난 2월 29일 2027년까지 의과대학 전임교수를 1000명까지 증원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정부는 내년도 대학별 교수의 증원 규모는 4월 8일까지 각 대학에서 제출한 수요를 토대로 종합 검토 후 반영할 계획이다. 의대 교수 채용에 수개월이 소요되는 점을 감안하여 각 대학이 내년 1월, 늦어도 2월까지 채용을 차질 없이 준비할 수 있도록 대학별 교수 정원 증원 규모를 가배정하고 사전에 안내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