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귀에도 온도가 있다. 방귀의 적정 온도는 36~37도인데, 때로는 이보다 더 뜨거운 방귀가 나온다. 뀌는 사람은 체감할 수 있다. 그런데 이 뜨거운 방귀는 왜 나오는 거고, 뜨거운 방귀일수록 냄새가 고약한 이유는 뭘까?
방귀는 입으로 들어온 공기와 장속 내용물이 발효하면서 생긴 가스가 직장 부위에 고여 있다가 괄약근이 이완되며 빠져나가는 것이다. 가스와 함께 열 에너지도 방출된다. 한양대병원 소화기내과 이항락 교수는 "방귀 온도는 체온이 올라가는 여러 상황에 의해 함께 높아질 수 있다"며 "특히 자극적이고 매운 음식이 체온을 올려 뜨거운 방귀를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대표적인 것이 고추, 향신료 등 캡사이신이 들어간 음식이다. 방귀에 '황'이 섞였을 때도 온도가 높아진다. 이항락 교수는 "복통, 설사, 변비 등 소화기관에 문제가 있으면 소장과 대장에서 황이 발생하는데, 황은 뜨거운 성질이 있어 방귀 온도를 높인다"고 말했다. 방귀의 주성분은 ▲질소 ▲수소 ▲이산화탄소 ▲산소 ▲메탄 등이다. 이들에는 냄새가 없다. 하지만 그 외 1%에 섞여있는 황화수소는 독한 방귀 냄새를 유발한다. 따라서 황이 많이 함유된 음식인 ▲브로콜리 ▲양파 ▲마늘 ▲해산물 등을 먹으면 방귀가 뜨거워지고 썩은 달걀 냄새가 날 수 있다. ▲우유 ▲육류 ▲달걀 같이 지방이나 단백질이 포함된 음식도 다량의 황화수소를 체내에서 생성해 뜨겁고, 고약한 방귀를 유발할 수 있다.
한편, 뜨거운 방귀가 살이 빠지는 신호라는 이야기가 온라인상에 떠돌기도 한다. 이에 이항학 교수는 "뜨거운 방귀는 소화 작용, 먹는 음식과 관련 있을 뿐 다이어트와는 무관하다"며 "아주 비과학적인 이야기"라고 말했다.
방귀는 입으로 들어온 공기와 장속 내용물이 발효하면서 생긴 가스가 직장 부위에 고여 있다가 괄약근이 이완되며 빠져나가는 것이다. 가스와 함께 열 에너지도 방출된다. 한양대병원 소화기내과 이항락 교수는 "방귀 온도는 체온이 올라가는 여러 상황에 의해 함께 높아질 수 있다"며 "특히 자극적이고 매운 음식이 체온을 올려 뜨거운 방귀를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대표적인 것이 고추, 향신료 등 캡사이신이 들어간 음식이다. 방귀에 '황'이 섞였을 때도 온도가 높아진다. 이항락 교수는 "복통, 설사, 변비 등 소화기관에 문제가 있으면 소장과 대장에서 황이 발생하는데, 황은 뜨거운 성질이 있어 방귀 온도를 높인다"고 말했다. 방귀의 주성분은 ▲질소 ▲수소 ▲이산화탄소 ▲산소 ▲메탄 등이다. 이들에는 냄새가 없다. 하지만 그 외 1%에 섞여있는 황화수소는 독한 방귀 냄새를 유발한다. 따라서 황이 많이 함유된 음식인 ▲브로콜리 ▲양파 ▲마늘 ▲해산물 등을 먹으면 방귀가 뜨거워지고 썩은 달걀 냄새가 날 수 있다. ▲우유 ▲육류 ▲달걀 같이 지방이나 단백질이 포함된 음식도 다량의 황화수소를 체내에서 생성해 뜨겁고, 고약한 방귀를 유발할 수 있다.
한편, 뜨거운 방귀가 살이 빠지는 신호라는 이야기가 온라인상에 떠돌기도 한다. 이에 이항학 교수는 "뜨거운 방귀는 소화 작용, 먹는 음식과 관련 있을 뿐 다이어트와는 무관하다"며 "아주 비과학적인 이야기"라고 말했다.
이 기사와 관련기사
의료계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