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세 살이 얼마나 힘들면… 빨리 늙기까지

입력 2023.10.16 22:30
집 모형
사진= 클립아트코리아
세 들어 사는 사람이 흡연자나 비만인 사람보다 ‘노화’ 속도가 빠르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불안정한 주거 환경과 높은 임대비용, 잦은 이사에 따른 스트레스 등이 생물학적 노화를 촉진시킨다는 것으로, 생물학적 노화란 실제 나이와 상관없이 신체 조직·세포의 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뜻한다.

영국 에식스대학교와 호주 애들레이드대학교 공동 연구팀은 ‘영국 가구패널조사’를 활용해 영국인 1420명의 거주환경과 건강정보를 분석했다. 조사 대상자들의 ▲임대 기간 ▲임대 비용 ▲주거 유형 ▲정부 지원 여부 ▲난방 여부 ▲임대료 연체 여부 ▲이사 횟수 등을 파악했으며, 생물학적 노화 속도를 파악하기 위해 혈액샘플 또한 채취했다.

연구 결과, 민간 주택에 세 들어 사는 사람들은 집을 소유한 사람이나 정부에서 지원하는 주택에 사는 사람보다 생물학적 노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들은 흡연자 보다 노화 속도가 약 50% 빨랐으며, 비만인 사람과도 2배 정도 차이를 보였다. 실업 상태인 이들과 비교했을 때도 생물학적 노화 속도가 일주일가량 빨랐다.

세입자들의 생물학적 노화와 관련된 스트레스 요인에는 ▲비싼 임대료 ▲반복적인 임대료 체납 ▲오염에 노출된 주거 환경 ▲난방 문제 ▲인구 과밀 ▲세입자에 대한 시선 ▲이사의 번거로움 등이 있었다. 특히 임대료를 내지 못한 경우 연간 12일씩 노화 속도가 빨라졌으며, 임대료에 부담을 느끼는 사람 또한 연간 5.5일가량 빠르게 노화가 진행됐다. 반면 같은 세입자임에도 정부로부터 임대료 지원을 받는 사람들은 생물학적 노화가 빠르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이 같은 연구 결과가 주거 유형이 생물학적 노화를 촉진시키고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임대료 지원과 임대료 인상 제한 등 주택 관련 정책이 변화·마련된다면 세입자들의 건강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는 의견이다. 연구에 참여한 에이미 클래어 연구원은 “이번 연구는 건강에 있어 안전하고 저렴한 주거 공간을 갖는 것의 중요성을 보여준다”며 “생물학적 노화는 만성 질환 위험 증가, 사망과 관련이 있으므로, 정책 입안자들에게도 주거 유형과 생물학적 노화의 연관성이 주요 관심사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최근 ‘역학·지역사회 건강 저널’을 통해 발표됐다.
�좎럩伊숋옙�대き占쎄퀣占쏙옙�곗굻占쎌닂�숋옙關援� �좎럩伊숋옙恝�숋옙�깆굲占쎌쥜�� �좎럩伊숋옙��숋옙�녿쫯占쎌쥙�ο옙�먯삕占쎌슜�삣뜝�숈삕占쎌쥙猷욑옙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