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만병의 근원이라 불리는 스트레스는 구강건강에도 치명적이다. 신체적, 정신적 스트레스가 지속하면 면역 기능이 급격히 저하되면서, 구강이 각종 염증과 바이러스 질환에 쉽게 노출되기 때문이다. 가짜 입냄새를 유발하기도 하고, 실제로 충치나 치주질환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안 나는 냄새, 난다고 느낄 수도
과도한 스트레스는 없는 입냄새를 만들기도 한다. 입냄새가 나지 않지만, 스스로 입냄새가 난다고 느끼는 식이다. 일명 가짜 입냄새라고 하는 자가구취증이다. 광주학동 유디치과의원 정진석 대표원장은 "종종 냄새가 나지 않는데도 구취가 난다고 찾아오는 환자들이 있는데, 스트레스나 긴장 상황이 많은 사람일수록 이런 증상을 느끼는 경향이 있다"며 "이땐 치과를 방문해 구취측정기로 구취 발생 물질 수치를 측정해보는 게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심리적인 스트레스로 인한 일종의 착각이기 때문에 객관적인 수치를 이용해 스스로 냄새가 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하면 증상이 완화되는 경우가 많다. 오히려 입냄새 제거를 위해 과도한 양치질, 구강 청결제 사용 등 강박적인 구강 세정 행동이 구강건강을 해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침 분비 줄여 실제로 입냄새, 치주질환 유발하기도
일반적으로 스트레스는 침 분비를 줄여 실제로 입냄새를 유발한다. 스트레스를 받으면 아드레날린이라는 신경전달물질이 분비되는데, 이때 우리 몸의 교감신경이 활성화된다. 혈관 수축과 혈류량 감소로 이어져 구강 내로 분비되는 침의 양이 현저히 줄어든다. 하루 평균 성인의 타액 양은 1~1.5L 정도 인데, 심한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 침 분비량이 그 절반까지도 줄어들기도 한다. 침에는 구강 세균을 억제하는 성분이 있는데, 입안이 마르면 세균 증식이 왕성해지고 치태가 쌓여 충치와 잇몸질환 발병 위험이 커진다. 이미 앓고 있던 치주질환을 악화시키기도 한다. 또한, 스트레스를 받을 때 이를 악물거나 이를 가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치아를 지지하는 치주인대와 치조골(잇몸뼈)에 큰 힘이 가해져 치아가 흔들리거나 잇몸에 염증을 유발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바빠도 스케일링·구강 검진 받아야
평소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다면 구강건강을 지키기 위해서라도 주기적인 구강검진 및 관리를 진행하는 것이 좋다. 가장 기본적인 관리 방법은 평소 꼼꼼한 양치질, 치실 사용으로 치아를 최대한 깨끗하게 유지하는 것이다. 이 외에도 주기적인 스케일링을 받는 것이 좋다. 치주질환을 유발하는 치태만 정기적으로 제거해줘도, 구강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 만 19세 이상 성인이라면 연 1회 스케일링을 건강보험 적용받아 저렴하게 받을 수 있다. 정진석 대표원장은 "구강질환으로 인한 통증이 다시 스트레스 지수를 높이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며 "평소 불편감을 느낀다면 치과를 방문해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통증을 없애고 삶의 질 개선에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