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멜로무비’ 박보영, “‘흡연 신’ 가장 고생”… 하루 1개비만 피워도 중독된다?

입력 2025.02.19 11:33

[스타의 건강]

박보영 나오는 드라마 화면
배우 박보영(35)이 넷플릭스 시리즈 ‘멜로무비’를 촬영하면서 흡연 장면을 찍기 위해 고생한 사연을 공개했다./사진=유튜브 ‘Netflix Korea 넷플릭스 코리아’ 캡처
배우 박보영(35)이 넷플릭스 시리즈 ‘멜로무비’를 촬영하면서 흡연 장면을 찍기 위해 고생한 사연을 공개했다.

지난 18일 서울 종로구 소격동 한 카페에서는 ‘멜로무비’ 주연 박보영의 인터뷰가 진행됐다. 이날 박보영은 멜로무비 촬영 중 흡연 장면 비하인드를 공개했다. 박보영은 “흡연 신을 연기할 때는 어떻게 찍으려 했나”라는 질문에 박보영은 “정말 그 장면 찍을 때 사공이 너무 많았다”라고 말했다. 이어 “흡연자들이 손가락이 잘못됐다, 방향이 잘못됐다 하면서 토론을 할 지경이었다”면서 “현장 스태프들 중 모든 흡연자들이 제게 와서 얘기를 해주시더라”고 말했다. 이어 박보영은 “이번 기회로 (흡연 연기가) 많은 발전을 한 것 같다”고 덧붙였다. 박보영이 드라마 속 캐릭터 연기를 위해 일시적으로 한 흡연은 건강에 괜찮을지와 흡연의 부작용에 대해 자세히 알아봤다.

먼저 담배에는 건강에 해로운 4000여 종의 화학물질과 69종의 발암물질이 들어 있다. 흡연 중독을 일으키는 니코틴은 만성적인 인후염, 편두통을 일으킨다. 하루에 한 갑 이상 담배를 피우면 폐암 발생 위험이 17배 높아진다. 구강암이나 후두암 등 각종 암 발병률을 높이기도 한다. 흡연은 심장과 뇌 건강에도 좋지 않다. 담배의 유해 물질은 혈관을 수축시키고 혈압을 상승시켜 심장에 부담을 준다. 담배를 피우면 몸의 염증과 산화 스트레스가 증가해 각 세포의 노화 속도가 빨라진다. 자주 흡연할수록 뇌의 두께는 얇아지고 언어 능력과 사고력, 기억력도 떨어진다. 흡연은 입냄새를 유발하는 주원인이기도 하다. 담배는 입안에 이물질이 오래 남아 있게 하고, 구강건조를 유발한다. 담배 속 니코틴과 타르 성분은 치아 표면에 달라붙어 치태와 치석이 잘 생기게 한다.

박보영처럼 일시적인 흡연을 해도 담배의 위험성을 피할 수는 없다. 실제 미국 듀크대 행동과학자 제이슨 올리버 교수팀과 펜실베니아 주립대 공동 연구진이 미국국립보건원에서 수집한 자료를 토대로 정신장애진단 및 통계 편람 제 5판(DSM-5) 기준에 따라 니코틴 중독으로 평가받은 흡연자 6700명의 자료를 조사한 결과, 매일 흡연하는 사람 중 85%가 중독되어 있는 것을 확인했다. 그런데, 하루에 1~4개비를 피우는 사람 중 3분의 2도 중독 상태였다. 일주일에 한 번 미만으로 흡연하는 사람 중 약 25%도 중독이었다. 연구팀은 많이 피우지 않고 매일 피우지 않아도 니코틴에 중독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하루 한 개비의 담배는 사망 위험도 크게 높인다. 미국의학협회 학술지(JAMA)에 실린 약 30만 명 대상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하루에 담배를 한 개비씩 피운 그룹은 비흡연자 그룹에 비해 사망 위험이 64%나 높다. 2~10개비씩 피운 그룹이 87% 높은 것과 비교해도 그 차이가 크지 않은 편이다. 연구팀은 담배를 적게 피울수록 몸에 덜 해로운 것은 사실이지만 그 차이가 큰 것은 아니라고 했다. 또한 흡연량보다 흡연 습관 자체가 더 큰 영향을 끼치며, 적게 피워도 연기를 깊게 빨아들이면 몸에 흡수되는 발암물질의 양은 비슷하다고 분석했다.

금연을 위해서는 금연 껌이나 금연 패치가 도움이 된다. 양파, 해조류, 무 등 니코틴 해독에 좋은 식품을 섭취하는 것도 좋다. 전문의에게 상담을 받고, 금연보조제 등을 활용하는 방법도 효과적이다.
의료계 뉴스 헬스케어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