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뚜둑' 손가락 관절 꺾기… 50년 동안 왼손만 꺾었더니 오른손과 차이는?

김연휘의 근거로 알려주는 의학 퀴즈

손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손가락 뼈마디에서 “뚝” 소리가 나게끔 관절을 꺾어주면 일시적으로 시원한 느낌이 나서, 습관적으로 하시는 분들이 굉장히 많은데요. 과연 관절 꺾기가 꼭 고쳐야 하는 나쁜 습관인지, 근거를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오늘의 퀴즈: 손 관절 꺾기와 관절염은 뚜렷한 인과관계가 있을까?
정답은 X입니다.
다만 꺾을 때마다 그 주변을 감싸고 있는 인대가 늘어나고 두꺼워지면서 손가락 마디 또한 두꺼워지기도 한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관절 꺾기가 관절에 전혀 영향을 안 준다고 보기는 어려우므로, 너무 잦은 빈도로 꺾거나 강하게 꺾는 것은 권장 드리지 않습니다.

참고 자료 1.
아래 논문은 총 215명을 대상으로 손에 골관절염이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이 각각 관절 꺾기를 얼마나 많이 했는지를 비교한 내용인데요. 손에 골관절염이 있든 없든, 관절 꺾기를 한 기간과 횟수에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즉, 손의 관절을 더 자주 혹은 더 오랜 기간 꺾은 사람에게 골관절염이 더 많이 생기는 것은 아니라는 뜻입니다.

출처: J Am Board Fam Med . Mar-Apr 2011;24(2):169-74.
참고 자료 2. 아래 또 다른 연구에서는 총 300명을 대상으로 관절 꺾기를 한 사람과 하지 않은 사람 사이에, 관절염이 있는 비율의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였습니다. 그 결과 마찬가지로 의미 있는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출처: Ann Rheum Dis . 1990 May;49(5):308-9.
보너스 자료. 미국의 의사 도널드 언거(Donald l. unger)는 어린 시절, 손가락을 자주 꺾으면 관절염이 생긴다는 말을 어머니로부터 들었습니다. 이것이 사실인지 확인하기 위해 도널드 언거는 자신의 손으로 실험을 했는데, 무려 50년 동안 왼손은 하루에 2회 이상 관절 꺾기를 하고, 반대로 오른손은 거의 꺾지 않았는데요. 그렇게 50년이 지난 뒤 양손의 관절을 비교를 했더니 서로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다수를 대상으로 한 실험은 아니지만 엉뚱하고 재치 있는 실험 일화라 보너스 자료로 소개해 드렸는데요. 참고로 도널드 언거는 이 실험으로 노벨상을 패러디하여 만들어진 이그노벨상을 수여 받았는데, 이 상은 상식과 다른 엉뚱한 연구나 업적이 있는 사람들에게 수여한다고 합니다.

출처: Arthritis Rheum . 1998 May;41(5):949-50.
참고 자료 3. 아래 실험 데이터에서는 관절 꺾기를 한 사람들의 연골이 더 두꺼웠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손가락 관절을 꺾을 때마다 그 주변을 감싸고 있는 인대가 늘어나고 두꺼워지면서 손가락 마디 또한 두꺼워지게 되는 형태일 것으로 생각이 되는데요. 아직 연구가 부족하지만 몇몇 근거들이 있으니 관절 모양을 신경 쓰는 분들께서는 가급적 하지 않는 것을 권장 드립니다.

출처: Hand Surg Rehabil . 2017 Feb;36(1):41-43
앞선 자료들을 통해 손 관절 꺾기와 관절염 사이에 뚜렷한 인과관계가 있다고 보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꺾을 때마다 그 주변을 감싸고 있는 인대가 늘어나고 두꺼워지면서 손가락 마디 또한 두꺼워지기도 하므로, 관절 외관에 신경을 쓰는 분들이라면 가급적 손 관절 꺾기를 하지 않는 것이 좋겠습니다.

또한 관절 꺾기로 인해 손가락이 두꺼워지는 점을 고려했을 때, 관절 꺾기가 관절에 아예 영향을 안 준다고 보기는 어려우므로, 너무 잦은 빈도로 꺾거나 강하게 꺾는 것은 권장 드리지 않습니다.

오늘의 결론,
1. 손가락 꺾기를 하면 관절염에 더 잘 걸린다는 명확한 근거는 없었다.
2. 손가락을 꺾을 때마다 그 주변을 감싸는 인대가 늘어나면서 손가락 마디가 두꺼워지기도 하니, 손가락이 두꺼워지는 것이 싫다면 가급적 꺾지 말자.
3. 위 2번을 고려했을 때 관절 꺾기가 관절에 아예 영향을 안 준다고 보기는 어려우므로, 너무 잦은 빈도로 꺾거나 너무 세게 꺾는 것은 권장하지 않는다.
�좎럩瑗띰쭩酉몌옙�⑥삕 �좎럥�삼옙占� �좎떬�낅츩占쎈냲�쇿뜝��占쏙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