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폭염과 열대야에 땀띠로 고생하는 사람이 많다. 특히 유아는 성인에 비해 땀 배출이 많고, 목·허벅지 등 접히는 부분이 많아 땀띠도 잘 생긴다. 고대구로병원 피부과 전지현 교수의 도움말을 통해 건강한 땀띠 관리법을 알아봤다.
◇열 많고 피부 기능 미숙한 아이에게 잘 생겨
땀띠는 땀구멍이 막혀 나타나는 피부 증상이다. 땀구멍이 막히면 땀이 나가는 통로나, 땀샘이 터져서 주위 조직으로 땀이 새어나간다. 이렇게 되면 피부에 작고 붉은 좁쌀 모양의 발진이 생긴다. 따갑고 가려우며, 피부가 접히는 목이나 허벅지등에 주로 나타난다. 자외선, 과다한 비누사용, 다량의 땀 등이 원인이며, 성인보다 아이에게 잘 생긴다. 아이들은 열이 많고 피부 조절기능이 미숙해서다.
◇헐렁한 옷 입히고 피부를 뽀송하게
가벼운 땀띠는 땀이 차지 않게 헐렁힌 옷을 입고, 시원한 물로 목욕하며, 물기를 잘 닦아 말려주는 것 만으로도 증상이 개선된다. 땀을 흘렸을 때 가능한 한 물로 빨리 샤워하고, 흡수가 잘 되는 면 소재의 옷을 입히면 좋다. 기저귀를 사용하는 유아라면 하의 없이 기저귀만 사용하는것도 도움된다. 간혹 땀띠를 예방하기 위해 베이비파우더를 잔뜩 바르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금물이다. 땀과 파우더가 반죽돼 달라붙어 오히려 땀구멍을 막을 수 있어서다. 이미 땀띠가 생긴 경우도 마찬가지다. 파우더 속 화학물질이 피부를 자극하고 땀구멍을 막아 증상을 더 악화시킬 수 있다. 과도한 비누사용 역시 땀띠를 악화시킬 수 있다. 여러번 샤워를 할 때는 비누를 한 번 정도만 쓰고, 세게 문지르지 않아야 자극을 피할 수 있다. 땀띠를 예방한다며 피부가 접히는 부위마다 손수건을 감아두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오히려 좋지 않다. 피부를 축축하게 만들어서다. 민간요법으로 소금물로 땀띠 부위를 씻기도 하는데, 오히려 피부를 자극해 증상을 악화시킬 위험이 있다.
◇증상 심해지면 세균 감염 위험
증상이 심해지면 피부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야 한다. 심한 땀띠가 있으면 세균이나 칸디다균 등이 이차적으로 침범해 농양이 생길 수 있다, 땀띠라고 생각했던 피부 병변이 호전되지 않을 경우 가볍게 생각하지 말고 병원을 찾아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