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 청소년기에 체질량 지수와 체중에 대한 인식 여부가 우울감을 느끼는데 큰 작용을 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인제대 상계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김봉석 교수는 체질량 지수, 체중 인지 및 우울 정서간의 관계를 조사했다. 이번 연구는 2013년 한국청소년위험행동조사의 자료를 바탕으로 총 72,435명의 성별에 따른 체질량 지수 , 체중 인지 및 우울정서간의 관계를 조사하며 진행됐다.
체질량 지수는 신체검사를 통해 계산하였고, 국제보건기구 기준에 따라 체질량 지수가 18.5 미만일 경우 저체중 , 18.5 이상 23 이하일 경우 정상 , 23 이상일 경우 과체중으로 분류하였다. 분석 결과, 25%의 소년과 37%의 소녀가 우울정서를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에서 낮은 체질량 지수와 저체중으로 자신을 인지하는 경우 우울 정서와 관련이 있었다. 반면 소녀에서는 낮은 체질량 지수와 높은 체질량지수 둘 다 우울정서에 관련이 있었다. 또한 저체중 혹은 과체중 인지는 우울정서와 관련이 있었다.
김봉석 교수는 "체중을 정상으로 인지하지 않는 청소년이 우울의 위험군이므로 저체중뿐만 아니라 과체중 청소년에게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의 소아정신의학 최신호에 게재됐다.
이 기사와 관련기사
의료계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