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안구건조증 심해 통증까지… A.기름 성분 안연고 쓰고, 마이봄샘 뚫는 온찜질을

입력 2017.03.14 04:30

[질병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헬스조선은 헬스조선닷컴에서 '질병,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코너를 운영 중이다. 질병과 관련된 궁금증을 온라인 상에 올리면 다양한 진료과 소속 50여 명의 의사가 답변한다. '질병, 무엇이든 물어보세요'에 올라온 질문과 답변을 정리했다.

눈에 통증이 생길 정도로 안구건조증이 심한 환자는 히알루론산 농도가
눈에 통증이 생길 정도로 안구건조증이 심한 환자는 히알루론산 농도가 높은 인공눈물이나 기름 성분이 든 안연고를 쓰는 게 도움이 된다. / 신지호 헬스조선 기자
정재림 김안과병원 교수
정재림 김안과병원 교수
Q. 안구건조증 심해 통증까지…
A. 기름 성분 안연고 쓰고, 마이봄샘 뚫는 온찜질을

질문 눈이 심하게 건조해 자고 일어나 아침에 눈 뜰 때 통증을 느낍니다. 요새는 눈도 잘 안보이는 것 같습니다. 안구건조증을 효과적으로 완화하는 법과 눈이 건조한 것이 시력에도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알고 싶습니다.

답변 대부분의 안구건조증은 저농도(0.1~0.15%) 히알루론산 성분의 ‘인공눈물’을 넣는 것만으로 완화됩니다. 히알루론산은 수분을 머금는 성질이 있어 눈표면을 촉촉하게 보호합니다. 증상이 심하면 고농도(0.18~0.3%) 히알루론산 성분 인공눈물을 쓰면 됩니다. 그런데 눈에 통증이 생길 정도면 ‘안연고’ 사용을 권합니다. 안연고에는 기름 성분이 들어 눈물막을 더욱 강력히 보호합니다. 단, 눈에 넣으면 10분 이상 시야가 뿌옇게 변해 자기 전에만 써야 합니다.

안구건조증 환자의 절반은 ‘마이봄샘’이 막힌 게 원인이어서 이를 뚫어주는 온찜질을 하는 게 좋습니다. 마이봄샘은 눈물의 증발을 막는 지질 성분을 분비하는 기관입니다. 속눈썹이 나는 부위에서 약 0.5㎜ 안쪽에 위치합니다. 따뜻한 물수건을 하루 한두 번 10분씩 눈 위에 올려두면 됩니다. 한편, 눈이 건조해 눈물막이 얇아지면 들어오던 빛의 굴절 각도에 영향을 미쳐 흐려보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시력이 떨어지는 건 아닙니다./정재림 김안과병원 교수

정진규 충남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정진규 충남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Q. 온몸 쑤시고, 잠도 못 자…
A. 섬유근통 의심해봐야

질문 40대 여성입니다. 수 개월 전부터 몸이 너무 피곤합니다. 잠도 못 자고, 일어날 때면 전날 힘든 노동이라도 한 듯 온몸이 아프고 쑤십니다. 피 검사, 소변 검사 모두 정상이었습니다. 원인이 뭘까요?

답변 심한 피로감과 함께 온몸이 쑤시는 질환은 섬유근통, 만성피로증후군, 근막통증증후군이 대표적입니다. 섬유근통은 근육에 있는 신경들이 과도하게 민감해지는 질환입니다. 온 근육이 쑤시고 아픈데, 명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만성피로증후군은 충분히 쉬어도 풀리지 않는 극심한 피로가 뚜렷한 원인 없이 6개월 이상 지속되는 것입니다. 근막통증증후군은 주로 목과 등 부위 근육이 뭉쳐 통증이 생기는 것인데, 특정 부위를 누르면 통증이 심해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환자 분은 ‘섬유근통’ 가능성이 가장 높습니다. 섬유근통은 30~40대 여성에서 주로 생기고, 특히 자고 일어났을 때 통증이 심해 환자들이 ‘온몸에 대못을 박아놓은 것 같다’고 표현합니다. 통증을 줄이는 세로토닌 호르몬 농도를 높이는 약이나 프레가발린 등의 진통제를 복용하면 일상생활이 무리 없이 가능할 정도로 회복될 수 있습니다. 한편, 통증을 감수하고서라도 운동을 해 근력이 약해지지 않게 주의해야 합니다. 걷기, 자전거 타기, 수영 등을 주 3~5회, 하루 30분 이상 실천하세요./정진규 충남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박재우 강동경희대병원 한방내과 교수
박재우 강동경희대병원 한방내과 교수
Q. 과민성장증후군 한방 치료법?
A. 통증엔 침, 몸이 차면 뜸

질문 과민성장증후군 진단을 받았습니다. 병원에서 처방한 약을 먹어도 그때뿐이고 증상이 재발합니다. 한방에서는 과민성장증후군을 어떻게 치료하는지요?

답변 한방에서는 과민성장증후군의 주요 원인을 ‘스트레스’로 인해 간(肝)의 기운이 정체된 것으로 봅니다. 따라서 정체된 간의 기운을 원활히 해 각 장기(臟器)로 뻗어나가게 하는 게 치료 목표입니다. 한방 치료로 과민성장증후군이 개선되는 환자 비율은 40~70%로 보고됩니다. ‘통사요방(痛瀉要方)’이라는 처방에 따른 한약이 주로 쓰입니다. 이는 중국 금나라 때부터 전해지는 약 처방법인데, 최근 여러 임상 결과에서 효능이 입증됐습니다. 백출(白朮), 진피(陳皮) 등의 약재를 씁니다. 아랫배 통증이 유독 심한 경우는 추가적으로 침을 놓고, 몸이 전반적으로 찬 사람은 복부 주변 혈자리에 열을 가하는 뜸치료나 온열치료를 합니다. 온열치료는 장의 혈액순환을 촉진합니다. 보통 3~6개월 치료 받으면 증상이 나아집니다. 평소에도 맵고 짠 음식을 피하고, 배가 차다면 찜질기 등을 이용해 따뜻하게 유지하세요./박재우 강동경희대병원 한방내과 교수

�좎럩伊숋옙�논렭占쎈뿭�뺝뜝�덈걠占쏙옙�앾옙�덉뿴�좎럥�띰옙�얠삕占쎈슣�뺧옙醫롫윥占쏙옙�숋옙�좎굲�ш낄援⑼옙�귨옙占쎈굞留띰옙醫롫윪占쎌슱�숋쭚�몄맶�좎럡�드뜝�숉맂筌뚭퍜�숂���㎍占쎌쥙�ο옙占쎌삕占쏙옙�얠삕占쏙옙鍮껓옙醫롫윪占쎌뇿援�옙��굲�좎럥흮占쏙옙 �좎럩伊숋옙�논렭占쎈뿭�뺝뜝�덈걠占쏙옙�앾옙�덉뿴�좎럥踰⑨옙�뗭삕占쎌쥙援뀐옙醫롫윥�됵옙�숋쭚�몄맶�좎럡�듸옙��삕占쎌슦肉ε뜝�뚮묄占쎌닂�쇿뜝�ш콡�좎럩伊숂뙴�묒삕�좑옙 �좎럩伊숋옙�논렭占쎈뿭�뺝뜝�덈걠占쏙옙�앾옙�덉뿴�좎럥�띰옙�얠삕占쎈뜆援뀐옙醫롫윥�됵옙�숋쭚�몄맶�좎럥�꾢쳞占쎈엠占쎈Ŋ�뺝뜝�뚮묄占쎌닂�쇿뜝�뚯씜�좎럩伊숋옙恝�숁�⑥�る렊�좎럩伊숋옙館�숋옙醫롫윥占쎈씛�숋옙�좎굲�좎룞�숃짆酉귥삕�ル∥�や벧�낆뿪占쎌닂�숋옙醫롪뎡占쎌쥙�ο옙�룸쨨占쎈Ŋ�뺧옙�モ닪占썬굢�븝옙�용뱟�좎럥�뗰옙�껊닱沃섅굤�∽옙醫롫윪鴉딆뮋�쇿뜝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