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혈압과 비교했을 때, 저혈압은 얼마나 심각하다고 생각하십니까?
단순한 어지럼증 정도로 여기시나요?
무엇을 가리켜 저혈압이라고 하냐면!
일반적으로 수축기 혈압이 90mmHg,
이완기 혈압이 60mmHg 미만의 경우입니다.
(정상 혈압 : 120/80 (수축기/이완기) mmHg 이하)
현기증, 피로, 손발 냉증, 두통, 어지러움,
이명증, 불면증, 변비, 식욕 감퇴, 복통, 실신…
저혈압의 증상들입니다.
저혈압은 자체 증상, 그리고 원인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나눌 수가 있지요.
[속발성 저혈압]
심장 질환, 폐 질환 등 여러 질환으로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본태성 저혈압]
병적 증상이나 확실한 원인이 없는 저혈압.
[식후 저혈압]
식사 후 다량의 혈액이 소화기계로 몰리고
뇌로 가는 혈액 공급량이 일시적으로 감소해
어지럼증이 나타나는 경우.
[미주신경성실신]
낮아진 혈압으로 인해 뇌로 가는 혈류가 감소하고
일시적으로 의식이 떨어지면서 실신하게 되는 경우.
[기립성저혈압]
앉았다 일어났을 때 수축기 혈압이 20mmHg 이상 떨어지고
뇌나 심장으로 가는 혈류가 줄어들어 머리가 핑 돌고 어지러운 느낌이 드는 경우.
저혈압, 어떻게 치료할 수 있을까요?
특정 질환으로 발생하는 속발성 저혈압은 정확한 원인을 찾아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립성저혈압 환자는 증상이 있을 때 옆으로 누워
안정을 취하는 것이 도움이 되지요.
고혈압과 달리 저혈압은 특별한 합병증을 유발하지 않으니,
인위적으로 혈압을 높일 필요는 없답니다.
저혈압 역시 일상생활 속 관리가 필요합니다.
-취침시 머리를 약간 높게 두고 주무시고,
아침에는 갑자기 일어나지 않도록 하세요.
-뜨거운 물로 오랫동안 샤워를 하지 말고,
술은 혈관을 확장시킬 수 있으니 피하세요.
-섭취 칼로리가 부족하지 않도록 비타민과 미네랄,
3대 영양소를 충분히 섭취하세요.
-과격한 운동은 탈진을 일으킬 수 있으니,
맨손 체조 등 가벼운 운동으로 혈액 순환을 촉진시키세요.
심리 상태 역시 저혈압 치료에 있어 중요하죠.
스트레스는 쌓아두지 마시고,
취미생활 등으로 기분을 전환하고,
충분한 휴식으로 마음을 편안하게 만들어
혈압에 안정을 찾아주시길 바랍니다.
기획 I 헬스조선 카드뉴스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