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뇌염 매개 모기 첫 출현

제주에 '작은빨간집모기' 확인…물리면 사망까지

작은빨간집모기
작은빨간집모기/사진 출처=조선일보DB

제주도 보건환경연원이 질병관리본부와 공동으로 조사한 결과 올해 들어 처음으로 제주에 일본뇌염 매개 모기가 출현했다고 밝혔다.

올해 작은빨간집모기 출현 시기는 지난해보다 약 한 달 정도 늦었다. 도 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 4월부터 현재까지 최저기온이 대부분 20도 미만으로 지난해보다 평균 1∼2도 정도 낮아 첫 출현 일이 늦어진 것으로 추정했다.

일본뇌염은 바이러스에 감염된 작은빨간집모기가 사람을 물면서 인체에 감염되는 급성 바이러스성 질병으로, 1930년대 일본인이 바이러스를 발견해 일본뇌염으로 명명됐다.

보통 5~15일 정도의 잠복기를 거쳐 발병한 뒤 고열, 두통, 구토, 운동장애 등의 증세를 일으키고 심해지면 혼수상태, 사망으로까지 발전한다.

일본뇌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예방접종을 받는 것이 최선이다. 특히 생후 12개월~만 12세 아동은 표준 일정에 맞춰 예방접종을 꼭 받아야 한다. 예방 백신으로는 사백신과 생백신 두 가지가 있으며, 이 중 하나를 선택해서 접종하면 된다. 사백신의 경우 생후 12~35개월에 세 차례, 만 6세와 12세에 각 한 차례씩 모두 5회 접종이 필요하다. 생백신은 12~35개월에 두 차례만 맞으면 된다. 최근 성인이 되면 일본뇌염에 대한 감수성이 높아져 예방접종을 다시 하라는 의견도 있지만, 현재 국내에서는 성인 일본뇌염 예방접종을 추천하지는 않는다. 다만 혈액검사 후 일본뇌염에 대한 면역이 전혀 없다고 밝혀진 상태에서 위험지역으로 여행을 가야 한다면 예방접종을 받는 게 좋다.

또한, 모기 활동이 활발한 여름철에는 가정에서 방충망이나 모기장을 사용하고, 밤에 활동을 가능한 자제해야 한다. 야외활동을 할 경우, 팔과 다리를 덮는 긴 옷을 입으면 도움이 된다.

이 기사와 관련기사
�좎럩伊숋옙�대き占쎄퀣占쏙옙�곗굻占쎌닂�숋옙關援� �좎럩伊숋옙恝�숋옙�깆굲占쎌쥜�� �좎럩伊숋옙��숋옙�녿쫯占쎌쥙�ο옙�먯삕占쎌슜�삣뜝�숈삕占쎌쥙猷욑옙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