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생아 중환자실에 근무하던 간호사가 입원 중인 아기에게 위험한 행동을 하고 이를 SNS에 게재한 충격적인 정황이 드러났다.
2일 대구가톨릭대병원은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간호사가 환아(치료나 진료받고 있는 어린이)를 부적절하게 대하는 정황이 드러나, 환아의 부모가 병원에 이를 신고했다"고 밝혔다.
병원은 이 신고를 접수한 뒤 사실관계를 확인했다. 그 결과, 한 간호사가 입원 중인 아기를 무릎에 앉히거나 끌어안은 채 사진을 찍고 "낙상마렵다(낙상시키고 싶다)" 등의 부적절한 문구와 함께 SNS에 올린 사실이 확인됐다.
신생아는 머리와 목 근육이 충분히 발달하지 않아 균형을 잡는게 불가능하다. 또한 작은 충격에도 두부 외상이나 뇌 손상 등 심각한 부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중환자실에 입원한 아기의 경우 상태가 더 불안정해 무릎에 앉히거나 안는 행위 자체가 낙상 사고로 이어질 위험이 크다.
환아의 사진을 부적절한 문구와 함께 SNS에 게시한 행위는 의료진이 지켜야 할 비밀 유지 의무와 전문직 윤리를 위반한 행동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병원 관계자는 "해당 간호사는 사직 의사를 밝혔지만, 이와 무관하게 고발 조치 여부 등을 논의하고 있다"며 "학대 사례가 더 있는지 확인하고 있다"고 했다.
2일 대구가톨릭대병원은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간호사가 환아(치료나 진료받고 있는 어린이)를 부적절하게 대하는 정황이 드러나, 환아의 부모가 병원에 이를 신고했다"고 밝혔다.
병원은 이 신고를 접수한 뒤 사실관계를 확인했다. 그 결과, 한 간호사가 입원 중인 아기를 무릎에 앉히거나 끌어안은 채 사진을 찍고 "낙상마렵다(낙상시키고 싶다)" 등의 부적절한 문구와 함께 SNS에 올린 사실이 확인됐다.
신생아는 머리와 목 근육이 충분히 발달하지 않아 균형을 잡는게 불가능하다. 또한 작은 충격에도 두부 외상이나 뇌 손상 등 심각한 부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중환자실에 입원한 아기의 경우 상태가 더 불안정해 무릎에 앉히거나 안는 행위 자체가 낙상 사고로 이어질 위험이 크다.
환아의 사진을 부적절한 문구와 함께 SNS에 게시한 행위는 의료진이 지켜야 할 비밀 유지 의무와 전문직 윤리를 위반한 행동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병원 관계자는 "해당 간호사는 사직 의사를 밝혔지만, 이와 무관하게 고발 조치 여부 등을 논의하고 있다"며 "학대 사례가 더 있는지 확인하고 있다"고 했다.
의료계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