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개의 기하학적 돌, 몸속 '한 곳'에서 나왔다"… 이게 가능한 일?

입력 2025.03.31 14:52

[해외토픽]

신경인성 방광질환을 앓고 있던 튀르키예 40대 남성의 방광에서 나온 결석들./사진=큐레우스
40대 성인 남성에게서 6개의 거대 방광 결석이 한 번에 나온 드문 사례가 해외 저널에 보고됐다.

튀르키예 종합병원 'Mersin Tarsus State Hospital' 의료진은 척추이분증(척추뼈 일부가 불완전하게 닫혀있어 척수가 바깥쪽으로 노출된 상태)을 앓고 있는 40대 남성 A씨가 척추 질환 치료 때문에 카테터(가느다란 관) 삽입술을 받던 중 이상 증상을 호소해 병원을 찾았다고 밝혔다. A씨는 척추이분증으로 인해 신경인성 방광질환(신경질환에 의해 방광과 요도 기능에 이상이 생긴 것)을 앓고 있었고, 이로 인해 어린 시절 장 일부를 절제해 소변을 저장할 수 있는 파우치 형태로 만들어 요관과 연결시키는 수술을 받은 적 있었다. 또 소장과 대장 연결 부위에 대장 내용물이 소장으로 역류하지 않게 밸브 역할을 하는 천연 밸브가 있는 상태였다. 이 상태에서는 자연 배뇨가 어렵기 때문에 방광을 제대로 비우기 힘들다. 의료진이 A씨 복부 CT 스캔을 진행한 결과, 방광 안에 기하학적 모양의 결석 6개가 발견됐다. 의료진은 결석 제거술을 시행했고, 실제 방광 안에서 피라미드 모양 돌 5개와 정육면체 모양 돌 1개를 꺼냈다. 정육면체 모양 돌 크기는 7cm x 7cm x 7cm였고, 피라미드 모양 돌들은 대부분 6cm x 6cm x 6cm 정도였다. 돌을 다 합친 총 무게는 2100g에 달했다. 수술 후 A씨는 다행히 합병증 없이 퇴원했다. 이후 정기적인 추적 검사에서도 새로운 방광 결석은 발견되지 않았지만, 때때로 고체 점액 입자가 보인다고 의료진은 설명했다.

방광결석은 방광 안에서 소변이 잘 배출되지 않고 머물며 돌처럼 딱딱하게 굳어진 것이다. 방광결석 성분은 옥살산칼슘, 인산칼슘, 인산 암모늄 마그네슘 등이다. A씨 수술을 집도한 Mersin Tarsus State Hospital 의료진은 "방광결석은 남성에서 여성보다 4~10배로 더 흔하게 발생한다"며 "영양실조나 만성설사가 있는 사람에게 잘 생기지만, A씨처럼 신경인성 방광질환, 방광 비대증 등으로 비뇨기과적 이상이 있는 경우에도 생기기 쉽다"고 설명했다. 이어 "A씨는 방광 감각이 없고, 정기적 방광 관리를 소홀히 해서 거대 결석이 여러 개 생긴 것으로 추정한다"고 했다. 방광이 제대로 비워지지 않으면 과도한 점액 생성, 세균 증식 등으로 결석이 발생할 수 있다. 의료진은 "A씨의 경우 결석의 총 무게와 크기가 클 뿐 아니라, 모양이 기하학적이라서 기록으로 남기는 데 의의가 있다"고 했다. 한편, 방광결석은 화학요법, 충격파 쇄석술, 내시경 방광 쇄석술, 복강경·로봇·개방적 방광 쇄석술 등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의료진은 "신경인성 발광질환이 있는 사람은 방광결석이 생길 수 있고 크기가 거대해질 우려가 있기 때문에 정기적으로 검사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사례는 '큐레우스' 저널에 지난 29일 게재됐다.